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신적으로 위축된다” 악성 민원·소송에 경찰 극단선택 5년 간 105명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연합]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 경찰들이 악성 민원 등에 시달리는 등 피해로 인해 최근 5년 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찰이 100명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연합뉴스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2018년부터 작년까지 5년간 극단적 선택을 한 경찰 공무원은 105명이다.

연도별로는 2018년 16명, 2019년 20명, 2020년 24명, 2021년 24명, 지난해 21명이다.

자살 원인(중복)으로는 정신건강 악화가 44명(26.5%)으로 가장 많았다.

가정문제가 32명(19.3%)이었고 직장문제가 30명(18.1%), 경제문제 26명(15.7%)으로 나타났다.

이외 기타 14명(8.4%), 신체질병 13명(7.8%), 남녀문제 7명(4.2%) 등도 원인으로 꼽혔다.

사건 처리 후유증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은 경찰 공무원도 절반에 달했다.

의원실에 따르면 2013년 한국능률협회의 경찰 내부망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만686명 중 절반에 가까운 8천968명(43.4%)이 사건 후유증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겪었다고 답했다.

5년 뒤인 2018년 치안정책연구소의 경찰 내부망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 2만1229명 중 7973명(37.6%)이 같은 고통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관 대상 상담·자살 예방 교육 등을 하는 프로그램 이용은 턱없이 부족했다.

의원실이 제출받은 ‘경찰공무원 마음건강증진 프로그램 이용자 정신과 연계 진료 현황’자료에선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과 진료를 받은 경찰 공무원은 5년 간 1228명에 그쳤다. 전체 경찰공무원이 13만1000여명인 점을 고려하면 1%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연도별로는 2019년 157명, 2020년 288명, 2021년 251명, 2022년 255명, 올해 1∼9월 277명이었다.

정 의원은 “연간 수십명의 경찰관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들은 각종 악성 민원으로 인한 스트레스, 직무 수행 중 제기되는 소송 등에 시달려 정신적으로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해 경찰복지 실태조사의 신속한 마무리와 자살예방책을 포함한 종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