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오염수가 계속 생겨나면 어떻게 하죠?"…도쿄전력의 대답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된 오염수 방류용 철제 파이프.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내년 3월까지 총 4회에 걸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3만1200t을 방류하기로 하고 이행 중인 가운데, 오염수 추가 발생을 막을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해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오염수 추가 발생을 막지 못하면 해양 방류가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6일 도쿄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2차 해양 방류를 개시한 지난 5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검토회의에서 추가 오염수 발생 방지 대책을 설명했다.

오염수는 녹아내린 핵연료 잔해(데브리)와 접촉한 냉각수에 원자로 시설 안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빗물까지 더해져 계속 발생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이날 회의에서 지하수 유입을 막을 대책으로 원자로 시설의 지하 주변을 철판 등의 구조물로 둘러싸거나 지하에 특수 액체를 주입해 물이 통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 등을 거론했지만, 높은 방사선 작업환경과 대량의 폐기물 발생을 문제점으로 언급했다.

도쿄전력 측은 2028년까지 구체적인 방법을 찾도록 하겠다고 밝혔으나 가능할 지는 미지수다. 도쿄전력 담당자도 "앞으로 검토할 것"이라고만 할 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해 깊이 있는 논의는 이뤄지지 못했다.

도쿄전력의 두루뭉술한 설명에 한 회의 참석자는 "무엇이 가능한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고, 또 다른 참석자도 "최종적으로 무엇을 노리는지 모르겠다"고 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핵연료 잔해 제거 등을 거쳐 2051년께 후쿠시마 원전을 폐기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는 일본 정부의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 보고 있으며, 우선 오염수 발생량을 '제로'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편 산케이신문은 해양 방류를 위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정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침전물을 보관하는 시설이 2028년 1월에는 다 차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현재 보관 중인 용기는 4231개로, 시설의 97%가량이 찬 상태다.

게다가 방사성 침전물에 열화돼 수명이 다하게 된 용기들도 나오고 있어 교체 작업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