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도위험기업 늘어난다” 기업 빌린 돈 60조·부채비율 8년새 최고
기업 46%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
“연체율 상승세 지속...관리 강화해야”

미국 국채 10년물이 16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도 1360원을 돌파했다. 11개월 만에 최고치다. 여기에 미국 원유 재고량 하락 소식에 유가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기업 경기는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다. 환율이 뛰고 유가가 오르면 기업의 원자재 구입 비용이 커지면서 마진을 떨어뜨린다. 수익성 저하로 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이 떨어지면서, 지난해 말부터 오름세를 보였던 기업대출 연체율도 내년 상반기까지 우상향을 그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부도위험 기업 비중 17.3%...금리·환율·유가 3高에 성장 악화=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도위험기업 비중은 전년 동기(15.6%) 대비 1.7%포인트 상승한 17.3%로 나타났다.

한은은 ‘Altman의 K-score II 모형’을 활용, 개별 기업 K-score 값을 통해 부도위험을 평가하고 이같은 결과를 냈다. 한은은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커졌다. 대기업은 총자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액 감소·자본비율 하락으로 신용위험이 높아졌다”며 “중소기업도 매출액 및 이익잉여금이 감소하고 자본비율도 하락하면서 신용위험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번 돈으로 이자를 내기도 어려운 기업 비중도 전체의 절반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취약기업 비중은 46%로, 지난해(36.4%) 대비 10%포인트 가까이 급증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1을 하회하면 이자도 다 갚지 못한다는 의미다.

전체 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 또한 올 1분기 1.1배로, 대부분 기업이 번 돈을 모두 이자 갚는 데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안풀려...기업대출 잔액 60조 증가=기업 대출은 확대 추세다.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8월 말 기준 약 747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0조원 가량이 증가했다.

2금융권에까지 손을 벌리는 기업도 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상호금융의 기업대출 잔액은 2분기 말 기준 346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비중으로만 놓고보면 50.9%에 달한다. 가계대출이 부진한 틈을 타 상호금융권이 기업대출을 급격하게 늘린 결과다. 한은은 기업대출 확대 배경에 대해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가계 신용공급 제약, 부동산시장 호황에 따른 부동산 관련 대출수요 확대, 상호금융의 수익성 확보 노력 등이 맞물린 데 주로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이 대출시장으로 흘러간 것은 회사채 시장 발행 환경이 쉽지 않아서다. 글로벌 긴축 기조로 채권금리가 올라간데다 각종 우량채권 발행이 이어지면서 일반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줄어든 탓이다. 특히 신용등급이 낮은 곳들일수록 외면 현상이 더욱 심했다.

박경민 DB금융투자 연구원은 “9월 중 진행됐던 AA급 이상 회사채 수요예측에서는 모집물량 이상 유효수요가 몰릴 정도였으나, A급 이하 회사채에서는 미매각이 나타날 정도로 업종별 차별화가 있었다”며 “은행채 발행물량이 시장의 공급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신용채권 전반의 수요가 위축되는 형상도 있었다”고 분석했다.

고금리 상황에서 자금조달 창구가 제한된 기업들의 대출 행렬은 더욱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계기업은 3903곳으로 분석대상 외감기업의 15.5%를 차지, 전년보다 비중이 0.6%포인트 늘었다.

문제는 대출 부실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7월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39%로 한 달만에 다시 반등한 상태다. 가계, 기업 전분야에서 연체율이 올랐는데, 가계 및 기업대출 연체율은 각각 0.36%, 0.41%를 기록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49%로 대기업대출 연체율 0.12%의 4배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 상반기까지 대출 부실화 가능성은 오히려 더 증가할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은행이 기업대출을 늘리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건전성 강화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정은·문혜현 기자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