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46%는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 [금융안정상황]
올 1분기 기준
기업 영역이익 모두 이자로 나가
한계기업도 증가 추세
고금리 이어지며 기업 재무활동 악화될 듯
부산항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 하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금리가 오르고 경기가 악화되면서, 올 1분기 영업이익으로 이자내기도 벅찬 기업이 46%까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도 1.1로, 사실상 영업활동으로 돈을 벌어도 이자비용으로 모두 나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수치로, 1을 하회하면 이자를 못갚는단 뜻이다. 이자보상배율 1를 밑도는 기간이 3년 연속 이어진 한계기업 비중도 증가세로 드러났다. 기업대출이 사상 최대로 늘어난 상황에서 고금리마저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출 부실 등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3년간 빚 못갚는 한계기업 15.5%

26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상황’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을 하회하는 한계기업 비중은 15.5%로 드러났다.

한은이 외감기업 2만5135개(대기업 5061개, 중소기업 2만74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한계기업 비중은 2021년 14.9%에서 지난해 15.5%로 올라갔다. 특히 한계기업의 차입금 비중은 같은 기간 14.7%에서 17.1%로 그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올 1분기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 비중은 46%로 2022년 36.4%에서 10%포인트 이상 늘어났다. 이는 코로나19가 진행되던 2020년(40.3%), 2021년(36%)보다도 높다.

전체 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 역시 올 1분기 1.1배로 사실상 번 돈을 모두 금융비용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5.1배는 물론 2020년(4.6배) 2021년(8.7배) 와 비교해 기업의 재무상황이 급격히 악화됐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이 장기간 정상화되지 못하고 존속할 경우 보다 생산적인 부문으로의 자금공급이 위축돼 신용배분의 효율성이 낮아진다”면서 “대내외 충격 발생 시 장기 존속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7년 이상 이자비용도 못 번 기업 903곳, 모두 50조 빌려

이자보상배율이 1을 하회하는 기간이 3년 미만이면 취약기업으로, 3년 연속 이어지면 한계기업으로 분류한다.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5년 이상 연속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곳으로 7년 이상 연속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었던 곳을 의미한다.

한은은 이 같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903곳으로 이들이 금융기관서 빌린 돈의 규모가 50조원에 달한다고 집계했다. 한계기업 차입금(168조7000억원) 가운데 30% 규모다. 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1년 후 부도 상태(폐업, 자본잠식 등)로 전환될 확률을 의미하는 ‘부실위험’은 5.67%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자산 1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 중견기업과 부동산(6.1%), 운수(6.8%,항공·해운 포함), 사업지원 서비스업(19.6%)에서 장기존속 한계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다만 연도별로 살펴보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기업수 비중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6%에서 2022년 3.6%로 소폭 하락했다.

장기존속 한계기업, 자산 절반이 ‘빌린 돈’

지난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평균 자산은 일반기업(非한계기업)의 0.67배, 매출은 0.4배에 그쳤다. 그러나 부채는 1.23배로 많았고, 차입금은 1.47배, 이자비용은 2.32배가 더 컸다. 채무상환능력이 낮다보니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은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총자산에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인 차입금의존도는 50%에 달했다. 자산의 절반이 빌린 돈이란 얘기다.

한은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수익성(매출액영업이익률)은 -3.8%, 유동성(유동비율)은 62.7%, 안정성(부채비율)은 686.5%에 달하고, 상환능력(이자보상배율) 역시 -0.7% 수준으로 주요 재무비율이 저조하다”고 꼬집었다.

보고서는 자산규모 및 업종에 따라 현금흐름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중견 및 대기업은 영업손실을 차입을 확대하면서 보전한 반면, 중소기업(자산 1000억원 미만)은 보유 자산 매각으로 대응했다. 또 자산1조원 이상 대기업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임에도 대규모 차입으로 투자를 확대했다.

업종별로도 같은 장기존속 한계기업이라 하더라도 부동산업은 영업현금흐름 수지가 크게 악화되지 않는 수준에서 차입을 통해 투자활동을 이어나갔지만, 운수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은 차입금 축소를 통해 이자 부담을 줄이는 걸 우선시 했다.

한은은 이에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손실 보전을 위해 차입금을 늘리며 이자상환 부담이 증가하면서 유동성이나 상환능력,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자산규모나 산업에 따라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면서 “부실기업 구조조정 및 취약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정책 시 개별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자산규모, 산업 특성을 함께 검토해 회생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