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간장게장 해먹게 다갖고와” 버려지는 伊꽃게…한국 수입 뜻밖 걸림돌
푸른 꽃게 [AFP=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게장 등 꽃게 요리를 즐겨먹는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에서 애물단지로 취급돼 버려지는 '푸른 꽃게'(블루크랩)를 정식 수입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실제로 국내 꽃게 수입업체들이 이탈리아 당국에 수출 여부를 타진하고, 푸른 꽃게 사전 예약을 받는 등 바쁘게 움직이고 있어 실제 판매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업체가 외국에서 꽃게를 수입하는 절차는 어렵지만은 않다.

국내에 들여오는 수입 식품은 정밀·현장·서류 검사 등 3가지 종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적합' 판정을 받으면 통관할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 들여오려고 하는 푸른 꽃게는 식약처 기준에 따라 수입을 할 수 있는 품종이다. 이에 따라 이 검사만 통과하면 업체들이 소비자들에게 꽃게를 판매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선 현실적으로 고려할 사항도 있다는 말이 나온다.

이탈리아의 비싼 인건비, 현지 냉동 시스템 구축, 운송비 등을 따지면 푸른 꽃게 수입이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는 것이다.

5년 업력을 지닌 꽃게 수입업체의 나명훈 이사는 연합뉴스에 "당초 버려지던 푸른 꽃게를 수입하려면 분류 작업을 해야 하고 냉동비에 운송비도 별도로 든다"며 "가격 면에서 확실히 싸지 않는 이상 도매 업체들이 푸른 꽃게로 수입 품종을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다만 개체 수가 많고 화제성도 있는 만큼 경쟁력이 있다는 말도 나온다.

현재 이탈리아 동북부 베네토주는 푸른 꽃게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조개 양식장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외래종이라는 것이다.

안사(ANSA) 통신에 따르면 루카 자이아 베네토 주지사는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푸른 꽃게 두 마리를 들고 "(이 게가)모든 것을 파괴하고 재앙을 일으킨다"고 주장했다.

푸른 꽃게는 북미 대서양 연안에서 주로 서식한다. 그런데, 몇 년 전 지중해로 들어온 후 최근 몇 달 사이 개체 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탈리아 동북부 해안 내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몸무게가 최대 1kg인 푸른 꽃게는 날카로운 집게로 조개껍데기도 부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리아인들이 즐겨 먹는 봉골레 파스타에 들어가는 조개, 홍합, 굴 등을 닥치는대로 먹어치우고 있다는 것이다.

베네토주는 푸른 꽃게 퇴치를 위해 290만유로(약 42억원) 예산을 배정했다. 푸른 꽃게를 포획하고 폐기하는 이들에게 포상금으로 지급된다.

꽃게 요리를 즐겨먹는 한국에서는 이 상황이 의문스러울 수 있지만, 이탈리아에서는 꽃게 요리에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라고 한다. 이에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한국인이 게장을 해먹겠다", "간장게장 해먹게 다 갖고오라", "버릴 바에야 우리한테 달라"는 등의 반응이 나오는 중이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