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생기부는 생을 기부하는 작업” 교사·학생 신뢰회복의 계기로

# “종일 잠만 자던 친구였어요. 상담을 해보니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다가 체육대회 때 피구 경기에 출전했는데 엄청 잘하는 거예요. ‘선생님, 피구가 너무 재밌어요’라고 한마디한 걸 생활기록부에 기재해줬죠. 체육에 흥미가 있다는 걸 알고 체육대학에 진학해보자고 제안했고, 결국 수시 전형으로 체대에 갔어요. 마음이 너무 짠했죠.”(예술고등학교 교사 조모(50) 씨)

MZ세대를 중심으로 학교 생활기록부(생기부) 열람 열풍이 불면서 학창 시절 선생님의 노고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생기부에 적힌 자상한 관찰을 보면서 사회인이 된 학생들이 선생님들의 숨은 노력을 깨닫고 있다. 몇 달째 지속되는 ‘교권 추락 사태’로 학교 안팎이 학생·학부모와 교사 간 대립의 장처럼 비치는 가운데 생기부 열풍이 학교 내 신뢰회복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생기부의 역사는 한국 교육의 역사다. 1955년 문교부 훈령 제10호가 출발점이다. 이후 수십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됐다. 생기부에 단순 교육과정 기록을 넘어서는 전인적 학생 관찰, 상위 학급 진학 문서 등 다양한 역할이 부여되면서 교사들이 생기부 작성을 하면서 느끼는 부담도 상당하다. 매 학기 찾아오는 생기부 작성을 ‘숙제’처럼 여길 법도 하지만 학생 개인에 대한 애정을 담아 정성을 쏟는 교사가 대부분이다.

고등학교 교사 박모(38) 씨는 “생기부는 생을 기부하는 작업”이라고 표현했다. 교실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것 외에도 특성을 잘 드러나게 할 수 있는 활동을 계획하고, 밤낮 시간을 들여 생기부를 쓰는 데 힘을 쏟는다는 의미다. 교사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짧게는 한 달, 길게는 한 학기 내내 학생들을 관찰한 후 적는다. 작성 자체도 일이지만 각 학생의 특성이 드러나도록 활동을 준비하고 시행해야 한다.

다만 현장에서는 생기부를 작성할 때 분위기가 예전 같지 않다는 씁쓸함도 있다. 긍정적인 내용만 적어야 한다는 압박감이 느껴져서다. 초등학교 교사 B(35) 씨는 “심한 경우에는 ‘노력을 하면 더 나아질 수 있다’고 생기부에 기재해도 학부모 민원이 들어온다”며 “부정적인 부분을 최대한 긍정적으로 보이도록 기재하라는 지침인데 솔직하게 적을 수는 없다”고 토로했다. 중학교 교사 강주호(37) 씨 또한 “교육청에서는 ‘나쁜 행동이 있었을 때 수첩에 적는 등 증거를 확실히 남겨 놓고 적어라’고 한다”며 “학생의 장단점을 기록하면 이후 지도교사에게도 도움이 되는 면이 있는데 학부모들의 항의가 들어올까 봐 10년 동안 학생의 고쳐야 할 점은 기재해본 적이 없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생기부를 다시 꺼내보는 유행이 교육 현장 정상화와 교권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선생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 “믿음은 쌍방적인 부분이라 생기부를 열람하는 활동을 통해 MZ세대는 물론 사회 전체가 선생님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며 “선생님들의 노고를 인정받으면 교사와 학생 간 신뢰회복에 보탬이 될 수도 있다는 기대도 든다”고 했다. 박지영(사회팀)·박지영 기자

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