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AIST, 전기차 배터리 수명 늘릴방법 찾았다
-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
전기차.[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해 전기차 고용량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카이스트(KAIST)는 신소재공학과 홍승범(사진)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전기차 고용량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특성 향상 메커니즘 영상화 결과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에너지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에는 실리콘 활물질이 충·방전을 거치면서 전자 전도 네트워크가 열화되는 과정을 영상화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존재로 인해서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전자전도 네트워크가 활물질 내에 균일한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명 증대 메커니즘을 검증했다.

연구팀은 켈빈 프루브 현미경을 이용해 1회 및 90회 충·방전 싸이클 후의 전극 내 천연흑연과 실리콘 산화물 입자에서의 표면 전위를 측정 및 영상화했다. 이를 통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전극에서는 활물질 내 표면 전위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반면, 첨가되지 않은 기존 전극의 경우에는 90회 충·방전 후에 불균일한 표면전위를 보여, 전자 전도 네트워크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않아 불균일한 충·방전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처럼 활물질 내부의 표면 전하를 영상화할 수 있는 기술은 실리콘 활물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극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상태 균일성을 확인하고 수명 향상 연구로 발전할 수 있다.

활물질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고 있는 켈빈프루브현미경 탐침 모식도.[KAIST 제공]

이번 연구의 제1 저자인 박건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은 “충·방전 시 수반되는 실리콘 계열 활물질의 급격한 부피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느다란 탄소나노튜브가 전자 전도 채널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전극 내에 균일한 충·방전을 가능케하는 것이 매우 신기한 일이었다”면서 “이를 나노스케일에서 직접 영상화해 그 역할을 미시세계에서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홍승범 교수는 “원자간력 현미경을 활용해서 나노스케일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적인 현상을 영상화하고 이를 통해서 배터리 성능 및 수명을 향상할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