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상혁, 다이아몬드 파이널 우승…AG ‘금빛 전망’ 밝혔다
韓 최초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출전, 2m35 우승…“도전 멈추지 않겠다”
파리올림픽 기준 기록도 통과…“라이벌 바르심 나오는 AG 더 재밌을 것”
우상혁이 17일(한국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3 세계육상연맹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서 우승한 뒤, 손으로 V를 그리고 있다. [세계육상연맹 인스타그램 캡처]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 '스마일 점퍼' 우상혁(27·용인시청)이 한국 최초로 세계육상연맹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우승을 차지했다. 2023 항저우아시안게임 금메달 전망도 밝혔다.

우상혁은 17일(한국시간) 미국 오리건주 유진 헤이워드 필드에서 열린 2023 세계육상연맹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서 2m35를 넘어 정상에 올랐다.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 우상혁은 다이아몬드 모양의 트로피를 들고 환하게 웃었다. 우상혁은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우승 상금 3만 달러(약 4000만원)도 챙겼다. 2위 노베르트 코비엘스키(26·폴란드)와 3위 주본 해리슨(24·미국)의 기록은 2m33이었다.

이날 우상혁은 2m15·2m20·2m25·2m29를 모두 1차 시기에 넘었다. 2m29까지 한 번도 실패하지 않고 바를 넘은 선수는 우상혁과 해리슨, 두 명뿐이었다. 우상혁은 2m33을 1차 시기에 넘으면서 단독 선두로 나섰다.

2m25와 2m29에서 한 번씩 실패한 코비엘스키도 2m33은 1차 시기에서 성공했다. 해리슨은 3차 시기에서 2m33을 넘으며, 우상혁을 압박했다.

하지만, 2023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챔피언은 우상혁이었다. 우상혁은 자신이 2021년 도쿄 올림픽(4위)과 2022년 유진 세계선수권(2위)에서 작성한 실외 경기 한국 기록과 같은 2m35을 3차 시기에서 넘고 포효했다.

대한육상연맹은 남자 높이뛰기 실내와 실외 기록을 통합해서 관리한다. 남자 높이뛰기 한국기록은 우상혁이 보유한 2m36(실내)이다.

코비엘스키와 해리슨이 2m33을 3번 시도에서 모두 넘지 못하면서, 우상혁은 우승을 확정했다. 우상혁은 해리슨 등 경쟁자들의 축하를 받으며, "꼭 가지고 싶다"고 말한 다이아몬드 모양의 트로피를 들고 기쁨을 만끽했다.

우상혁은 2024 파리올림픽 출전도 사실상 확정했다. 파리 올림픽 기준 기록은 2m33이고, 기록 인정 기간은 올해 7월 1일부터 내년 6월 30일이다. 우상혁은 일찌감치 파리 올림픽 기준 기록을 통과했다.

한국 선수 중 최초로 출전한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파리 올림픽 기준 기록을 통과해 기쁨은 배가 됐다.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출전하는 다이아몬드리그는 1년에 총 14개 대회를 치른다. 13개 대회에서 쌓은 랭킹 포인트로 순위를 정해 '챔피언십' 격인 14번째 파이널 대회에서 '최종 승자'를 가린다.

각 대회 1∼8위는 순위에 따라 차례로 승점 8∼1점을 받는데, 남자 높이뛰기는 총점 상위 6명이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출전 자격을 얻는다. 남자 높이뛰기를 편성한 2023 다이아몬드리그 개별 대회는 도하, 로마·피렌체, 스톡홀름, 실레지아, 런던, 취리히, 총 6개다.

우상혁은 4개 대회에 출전했다. 도하(2m27)와 로마·피렌체(2m30)에서 2위에 올라 7점씩을 얻었고, 스톡홀름에서는 기록을 남기지 못해 다이아몬드리그 포인트를 추가하지 못했다. 마지막 개별 대회인 취리히 대회에서 3위에 올라 6점을 추가한 우상혁은 총 20점, 4위로 파이널 진출권을 손에 넣었다.

육상 선수가 올림픽, 세계선수권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에 한국 선수가 출전하는 건, 올해 우상혁이 최초였다. 지난해 우상혁은 1점이 부족해 7위로 파이널에 출전하지 못했다.

올해 파이널에는 '현역 최고' 무타즈 에사 바르심(카타르)과 8월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 장마르코 탬베리(이탈리아)가 불참했다.

하지만, 올해 다이아몬드리그 개별 대회에서 3번이나 우승한 해리슨 등 최정상급 선수 6명(우상혁 포함)이 출전해 파이널 우승에 도전했다. 최종 승자는 우상혁이었다. 우상혁은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 6위(2m29)에 그친 아쉬움도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우승 트로피를 들면서 털어냈다.

경기 뒤 우상혁은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우승은 내 인생 목표 중 하나였다"며 "정말 기쁘고, 감격스럽다. 응원해주신 모든 분, 김도균 코치님을 포함해 나를 일으켜주신 모든 분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우상혁의 다음 목표는 10월 4일 결선이 열리는 항저우아시안게임 금메달과 내년 개막하는 파리 올림픽 우승이다.

우상혁은 "아시안게임 금메달 목표를 향해 다시 노력해야 한다"며 "잠시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겠지만, 체중 관리 등 아시안게임 준비는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항저우아시안게임 금메달의 최대 난적은 바르심이 될 전망이다. 2017년 허리와 발목 부상으로 고전한 뒤 '시즌 경기 수'를 조절하는 바르심은 아시안게임에 대비하고자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출전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우상혁은 "바르심과 함께 뛰면 적절한 긴장감이 생긴다"며 "바르심이 출전하는 아시안게임에서는 더 재밌는 경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안게임 금메달도 내겐 무척 중요한 목표다. 최선을 다해 바르심과 경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도전을 멈추지 않겠다. 바르심이 참가하는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 더 좋은 모습 보여드리겠다. 파리 올림픽 우승을 향한 노력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바르심은 2010년 광저우(2m27), 2014년 인천(2m35)에서 아시안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 그러나 2017시즌 발목을 다쳐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에는 불참했다.

우상혁은 고교생이던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서 2m20으로 10위에 그쳤지만, 2018년 자카르타에서는 2m28로 은메달을 따냈다. 2021년 도쿄올림픽(2m35)로 4위을 차지한 것을 기점으로 세계 최정상급 점퍼로 도약하고, 지난해 세계실내육상선수권 우승(2m34), 실외 세계선수권 2위(2m35), 이번 다이아몬드리그 파이널 우승(2m35)까지 새로운 '역사'를 써 왔다.

우상혁이 항저우에서 바르심을 넘어서면 한국 육상은 이진택(1998년 방콕·2002년 부산 대회 우승) 이후 21년 만에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 금메달 손에 넣는다. 우상혁이 출전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높이뛰기는 10월 2일 예선, 4일 결선을 치른다.

한편 한국 육상 첫 다이아몬드리그 챔피언이 된 우상혁은 18일 각 종목 우승자와 함께 '세리머니'를 펼치고, 19일 귀국한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