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EU 역외 3대 수입국 부상…완성차·이차전지·바이오 호조
무협 ‘EU 수출 시장 호조 품목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 발간
"EU의 신통상규범 대응, 시장 선점 기반 확보 중요"
한국의 대EU 연간 수출 규모표. [한국무역협회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한국이 유럽연합(EU) 역외 수입국 순위에서 일본과 러시아를 제치고 전체 7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지역을 제외하면,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4일 ‘EU 수출 시장 호조 품목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교역 둔화에도 한국의 대(對)EU 수출은 2020년부터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1~4월 기준 EU의 역외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8.6% 줄었지만, 대한국 수입 규모는 264억달러로 10.7% 성장하며 최초로 일본(262억달러)·러시아(211억달러) 수입 규모를 넘어섰다. 한국 역시 올해 1~7월 전체 수출은 전년 대비 13.0% 둔화됐음에도 대EU 수출은 같은 기간 3.5% 늘어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의 대EU 수출 호조 품목은 자동차·이차전지·바이오의약품인 것으로 조사됐다. 1~6월 기준 EU의 대한국 수입 상위 10개 품목 가운데 이차전지 소재(양극재 107%, 흑연·전해액 190%), 바이오의약품(91.3%), 완성차(32.6%) 수입이 전년 동기대비 가장 크게 성장했다.

보고서는 EU의 이차전지·자동차·바이오의약품 시장은 빠른 성장이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전략적 시장 진출 시 우리 기업의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EU는 오는 2035년부터 친환경차 판매만 허용하는 ‘Fit for 55’ 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EU의 전기차·리튬이온전지 시장은 향후 5년간 각각 연평균 16.5%, 30%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EU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고령화에 따른 면역 질환 치료용 의약품 수요 증가와 바이오 시밀러 규제 완화 영향으로 오는 2028년까지 연평균 24.1% 성장할 것으로 점쳤다.

김나율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EU의 신통상규범에 대응하면서 호조 품목 생산 기반을 확충해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출 품목 다변화와 한-EU 자유무역협정(FTA) 관세 특혜 활용을 통한 수출 경쟁력 제고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