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산물 제로페이 실사용률 53.5% 기록”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오른쪽)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정부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 관리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수산물 전용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수산상품권)의 올해 1∼9월 발행금액 대비 실사용률이 50%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오염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실사용률이 53.5%에 이른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해수부는 수산상품권 사업을 시작한 이후 홍보를 계속해서 강화하고 있다"며 "작년 수산상품권 발행액 대비 실사용률은 91%에 이른다"고 말했다.

수산상품권은 기존 제로페이 가맹점 중에서 수산상품권 가맹점으로 추가 등록한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박 차관은 "수산상품권 구매 고객 연령대를 보면 50대 이상 구매 비율이 20∼30대에 비해 높고 발행 당일 계속 매진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발행된 수산상품권의 연령대별 구매 비중은 40대가 39.5%로 가장 높고 30대 24.7%, 50대 19.6%, 60대 이상이 11.2% 등이었다.

위판장을 거치지 않고 판매되는 일부 패류, 해조류, 원양산은 수산물 방사능 신속 검사를 받지 않는다는 일각의 주장에는 적극 반박했다.

박 차관은 "정부의 수산물 방사능 검사체계는 수협에서 위판되는 수산물에 대한 신속 검사 외에도 정밀하고 촘촘하게 짜여 있다"며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 전문 검사기관이 어류, 패류, 해조류 등을 생산하는 약 1만2000개 양식장에서 출하 전 시료를 채취해 방사능 검사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근해산은 위판 여부와 관계없이 92개 주요 조업 해역에서 방사능 검사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외도 전체 위판장을 대상으로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수협 위판을 통하지 않는 원양산 수산물은 유통 전에 냉동창고 등에서 시료를 채취해 방사능 검사를 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런던협약·의정서 당사국총회에서 어떤 입장을 표명할 것인지 묻는 질의에는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말하기에는 조금 이르다"고 답했다.

다만 "투명한 정보 공유와 모니터링을 통해 이 이슈가 공정하게 국익 차원에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국외로 넓혀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지난 발표와 대해선 "일본 인근 공해상 2개 권역 8개 지점에 대해 해양 방사능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며 "태평양 도서국과는 협의 후 내년부터 실질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