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증액 확정한 CJ CGV, 자금 압박 변수 'FI 협상' [투자360]
MBK·미래에셋PE, 자회사 IPO 기한 연장 승인 관건
증자 목표치 미달, 채무 상환 부담 가중
실권율 10%, 일반공모 전량 소화 필수

[헤럴드경제=심아란 기자] CJ CGV가 유상증자 규모를 확정했으나 조달 목표치를 채우지 못했다. 채무 상환 부담이 커진 가운데 추가 자금 압박 변수로 해외 자회사 재무적투자자(FI)와 협상이 떠올랐다. CJ CGV에 우호적인 투자 조건을 끌어내야 자금 운용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11일부터 12일까지 CJ CGV는 유상증자 실권주 일반공모를 시작한다. 앞서 기존 주주로부터 청약을 받은 결과 발행 예정 주식의 10.6% 정도 실권주가 발생했다. 유상증자 발행가액을 고려하면 실권주 규모는 440억원이다. 일반공모에서도 청약이 미달되면 주관사가 실권주를 책임지지만 이 경우 CJ CGV가 지급해야 할 비용도 증가한다. 따라서 실권주를 소화하는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CJ CGV는 유상증자 최초 공시 이후 주가가 하락해 조달 금액도 27%가량 축소됐다. 기존에 5700억원의 자본확충을 기대했으나 실제론 4153억원으로 감소했다. 자금 사용 우선순위를 고려해 채무 상환에 투입할 금액을 41%가량 조정했다. 부족분은 자체 현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자기자본 조달 계획이 축소된 만큼 FI와 협상에서도 선택지는 좁아질 개연성이 있다. CJ CGV는 2019년 종속회사 CGI홀딩스의 FI로 MBK파트너스와 미래에셋증권 PE(이하 MBK·미래에셋PE)를 확보했다. 당시 FI는 CGI홀딩스에 3336억원을 출자해 지분 28.57%를 취득했다. CGI홀딩스는 CJ CGV의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통합법인이다.

계약상 CGI홀딩스는 올해 6월까지 기업공개(IPO) 작업을 개시해야 했지만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다만 MBK·미래에셋PE는 투자금 회수를 위한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Drag-Along Right)을 행사하지 않고 있다. 이는 FI 측에서 CJ CGV가 보유 중인 CGI홀딩스 지분 71%까지 끌어와 매각할 수 있는 권리다.

동반매도청구권이 행사되면 CJ CGV는 이에 동의하거나 우선매수권(콜옵션)을 행사해 FI 보유 지분 28.57%를 되살 수 있다. 물론 CJ CGV의 현금유동성을 고려하면 콜옵션을 행사할 여력은 제한적이다. 올해 6월 말 별도기준 현금성자산은 1903억원이다. 이번 증자로 확보한 자금은 매입채무 지급, 시설투자와 채무 상환에 투입되며 여윳돈이 남지 않는다.

CJ CGV는 올해 상반기부터 CGI홀딩스 FI 지분에 대해 보유한 콜옵션의 회계처리를 유동부채로 변경한 상태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채무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콜옵션의 공정가치 관련한 파생상품부채 484억원이 올해 상반기 유동금융부채로 분류돼 있다.

CJ CGV가 FI와 협상해 시간적 여유를 얻으면 CGI홀딩스의 경영 실적 개선을 이끌어야 한다. CGI홀딩스는 6월 말 기준 당기순손실 88억원으로 아직 상장에 나설 체력은 갖추지 못한 상태다.

CJ CGV 관계자는 “글로벌 영화산업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CGI홀딩스 재무적투자자와 IPO 기한 연장 등 원만한 협상을 기대하고 있다”라며 “콜옵션 행사의 경우 제반 상황을 고려하고 있으나 현재로서 확정된 사안은 없다”라고 설명했다.

ar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