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수사무마 의혹’ 보도 JTBC 이어 MBC도 사과 방송
방통위, 지상파 팩트체크 검증시스템 실태 점검
서울시, 인터넷언론 뉴스타파 신문법 위반 검토
7일 MBC 뉴스데스크 앵커가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 보도에 대해 “시청자에게 혼선을 드렸다”고 사과하고 있다. [MBC 뉴스데스크 갈무리]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검사 재직 시절 부산저축은행 수사를 무마해준 의혹이 있다고 보도한 JTBC와 MBC가 잇따라 왜곡된 보도였다며 사과했다.

8일 MBC에 따르면 전날 뉴스데스크는 인터넷언론 뉴스타파의 기사를 인용해 지난해 3월 7일 이같이 보도한 것에 대해 “결과적으로 시청자에게 혼선을 드렸다”고 인정했다.

뉴스데스크는 같은 날 오후 5시에 뉴스타파가 공개한 김만배 씨의 음성 녹취록 내용을 보도한 뒤 “작년 3월 6일 뉴스타파가 김씨의 발언을 일부 생략하고 편집한 상태로 보도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7일 MBC가 뉴스타파가 공개한 김만배 씨 음성녹취록 내용에 관해 보도 하고 있다. [JTBC 뉴스룸 갈무리] [MBC 뉴스데스크 갈무리]

앵커는 “뉴스타파의 기사를 이튿날 인용 보도한 MBC는 녹취록 원문 제공을 거부당한 상황에서 김씨의 발언을 그대로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결과적으로 시청자 여러분께 혼선을 드렸다”고 말했다. 또 “MBC는 당시의 보도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JTBC는 지난 6일 뉴스룸 방송 중 앵커가 직접 사과 멘트를 하고 “사과드립니다”라는 자막도 달았다.

JTBC는 지난해 2월 21일 검찰이 2011년 ‘대장동 브로커’ 조우형씨 수사를 무마해준 의혹이 있다고 보도했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대검 중앙수사부 조사를 앞둔 조씨에게 “오늘은 (조사받으러) 올라가면 커피 한 잔 마시고 오면 된다”고 말했다는 내용이었다. 또 변호사 남욱씨가 ‘조씨가 실제 주임 검사가 커피를 타 주며 첫 조사와 달리 잘해주더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며 당시 주임검사는 대검 중수2과장이었던 윤 대통령이었다고 전했다.

6일 JTBC 뉴스룸 앵커가 사과 멘트를 하고 있다. [JTBC 뉴스룸 갈무리]

JTBC는 당시 해당 뉴스를 전한 A 기자가 2021년 10월 조우형씨를 직접 만났고 설명했다. 조씨는 A기자에게 “담당 검사는 박모 검사였다”고 말했고 윤석열 검사를 만나 일이 없다고 답했지만 이같은 내용은 기사에 담기지 않았다고 한다. 또 조씨는 ‘내가 대검 중수부에 불려간 건 대장동 사건이 아닌 부산저축은행 부회장의 금품수수 의혹 관련이었다’고 말했으나 기사에는 “대장동 관련 질문을 받은 기억이 없다”는 말만 반영됐다.

A기자는 지난해 10월 JTBC를 퇴직한 뒤 뉴스타파로 자리를 옮겼다. JTBC는 “이번 사안을 엄중하게 보고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렸다”며 “이런 보도가 나간 원인을 철저하게 조사하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했다. 이어 “우선 당시 기사 작성 과정에 있던 관련 담당자들을 업무에서 배제했고, 이 시기에 보도된 다른 기사들에 문제가 없는지도 검증에 들어갔다”며 “왜곡된 보도를 하게 되어 시청자 여러분께 사과드린다”고 했다.

뉴스타파는 대선을 사흘 앞둔 지난해 3월 6일 김만배 씨의 음성 녹음파일과 함께 “이 파일에 2011년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대장동 대출 관련자에 대한 검찰의 봐주기 수사 의혹에 대한 김씨 주장이 들어있다”고 보도했다.

녹음 파일에서 김씨는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변호사였던 박영수 전 특별검사와 검사였던 윤 대통령을 통해 무마시킬 수 있었다는 취지로 말했다.

그러나 김씨의 음성을 녹음해 뉴스타파에 건넸던 신학림 전 민주노총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이 김씨에게 2021년 9월 1억6000여만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대선에 영향을 주기 위한 조작 보도였다는 의혹이 일었다. 검찰은 신 전 위원장이 허위 인터뷰를 한 대가로 김씨에게 이 돈을 받았다고 보고 수사 중이다. 신 전 위원장은 책 3권을 김씨에게 판매한 대가라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이와 관련 방송통신위원회는 대선 과정에서 논란을 빚은 가짜뉴스 보도와 관련해 KBS, MBC, JTBC의 팩트체크 검증 시스템에 대해 실태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시는 서울시 등록 인터넷신문인 뉴스타파의 신문법 위반사항을 면밀히 살펴보고 위반 시 발행 정지나 등록취소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