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오토에버, 협력사 보안까지 챙긴다…29개사 취약점 보완
EDR·SASE 확대 전개…피싱 모의훈련 시행
[현대오토에버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현대오토에버가 주요 협력사에 대한 보안 점검을 진행하고, 발견된 취약점을 개선했다고 5일 밝혔다.

현대오토에버는 소프트웨어 공급 생태계 전반의 보안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지난해 17개 상주 협력사와 현대오토에버 내부망과 상시 연결된 12개 협력사 등 29개 협력사를 선정해 보안 점검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협력사 보안 절차 개선과 악성코드 감염 예방을 개선 방향으로 설정했다.

특히 재택・원격근무 확산 등 보안 환경의 변화에 따라 엔드포인트(Endpoint)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엔드포인트는 기업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 첫 관문이다.

현대오토에버는 엔드포인트 보안 강화를 위해 지난해 그룹사 및 협력사를 대상으로 EDR(엔드포인트 탐지 대응, Endpoint Detection Response) 솔루션을 적용했다. 사내뿐만 아니라 협력사까지 EDR의 적용을 확대해 보안 관문을 우회하는 보안 위협이 없도록 대응 체계를 확립했다.

엔드포인트 향상 및 악성메일을 통한 침해사고를 막기 위해 SASE(에지 보안 서비스, Secure Access Service Edge)도 확대했다. SASE는 클라우드 환경에 방화벽, 침입 탐지/방지(IDS/IPS)등 네트웍 보안 장비를 구성해 외부망 재택 PC가 클라우드상 네트워크 보안 장비(SASE)를 거쳐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네트워크 보안의 미래로 평가받고 있다.

기존 보안 관리 체계와 함께 EDR, SASE 등의 솔루션을 함께 적용하면 재택 및 협력사도 본사 수준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안전하고 편리한 업무 환경의 장점은 덤이다. 악성코드 유포지, 명령 제어 서버 등 악성코드의 유입 경로를 사전에 탐지해 대응할 수도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최근 SASE의 도입을 마쳤다. 내년까지 국내 그룹사와 해외법인·협력사를 대상으로 SASE를 확대 전개할 계획이다. 매월 임직원 대상으로 진행하는 피싱 모의훈련은 2023년 5월부터 단계적으로 협력사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기업의 강력한 보안 체계를 우회해 제3자를 통한 공급망 공격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2019~2022년 소프트웨어 공급망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연평균 742%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외부 협력사들은 상대적으로 약한 보안 체계를 가진 ‘약한 고리’로 여겨져 공급망 공격의 타깃이 되기 쉽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사이버 보안 위협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본사의 강력한 보안 체계를 우회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며 “다양한 보안 위협에서 소프트웨어 공급망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부분에도 보안 예외를 두지 않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체계를 구축해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약한 고리가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