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HL그룹, 자동차·건설 섹터장 인사 단행…조성현 부회장 승진
섹터장 책임·권한 강화…그룹 성장 모색
정몽원 회장은 미래사업 및 HR혁신 집중
조성현 HL만도 부회장. [HL그룹 제공]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HL그룹은 책임경영 체제 시행을 위해 섹터장급 최고경영자(CEO) 인사를 단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자동차섹터장 겸 HL만도 CEO 조성현 수석사장이 부회장 승진 발령을 받았다. HL그룹 인사에서 부회장 승진 발령은 8년 만이다.

건설섹터장 겸 HL디앤아이한라 CEO 홍석화 사장은 수석사장에 임명됐다.

HL그룹은 격변하는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자동차·건설 섹터(Sector)장에게 책임과 권한을 확대· 부여, 그룹의 성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조성현 부회장은 2021년 12월부터 자동차섹터장 겸 HL만도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조 부회장은 브레이크, 스티어링, 서스펜션 등 HL만도의 3개 BU 총괄은 물론 국내 최대 자율주행 전문 기업 HL클레무브, 모터 제조 전문 기업 만도브로제에 이르기까지 자동차 시스템 부품 제조·연구 섹터의 수장으로서 HL그룹 자동차섹터의 성장을 이끌어 왔다.

조 부회장은 엔지니어 출신 글로벌 영업맨으로 미국, 독일 등 해외에서만 20년을 활약했다. 최근 북미 OEM의 ‘EMB(Electro Mechanical Brake)’ 수주 역시 그의 공이 컸다. 최근 조 부회장은 로봇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홍석화 HL디앤아이한라 수석 사장. [HL그룹 제공]

지난해 10월 건설섹터장 겸 HL디앤아이한라 대표이사에 취임한 홍석화 수석사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부동산 경기 위축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HL디앤아이한라의 도약을 주도하고 있다.

건설섹터 계열사 목포신항만운영, HL에코텍, HL로지스앤코 등을 관장하고 있다. 건설섹터의 선결 과제는 업종 침체 국면 타개다. 전문경영 CEO를 중심으로 발상의 전환, 신속한 의사결정, 새로운 이미지 구축 등이 건설섹터에는 절실히 필요하다. 정몽원 HL그룹 회장이 HL디앤아이한라 사내이사직을 사임하고 홍 수석사장에게 전권을 위임한 이유다.

정몽원 HL그룹 회장은 그룹 제3섹터 창출을 위해 미래사업과 HR혁신에 집중한다. HL만도 신사업 조직 등이 그룹에 통폐합된다. 그룹 미래사업실이 확대 재편되는 것이다. 외부인재영입, 내부인재발굴 등 핵심인재육성 역시 그룹 인사혁신실이 추진한다. 정몽원 회장의 HL홀딩스, HL만도, HL클레무브 등 사내이사직은 유지된다.

향후 계열사 주요 이슈는 지주사를 중심으로 결정된다. 정몽원 HL그룹 회장은 급변하는 세계시장환경 속에서 글로벌 고객과의 스킨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