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주항공, 2분기 영업익 231억원…3분기 연속 흑자
상반기 매출 7921억원…‘역대 최대’
코로나 위기 극복·탄력노선 운영 효과
제주항공 여객기. [제주항공 제공]

[헤럴드경제=김지윤 기자] 제주항공은 올해 2분기 별도기준 매출 3698억원, 영업이익 231억, 당기순이익 199억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이후 3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5.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550억원에서 흑자 전환했다.

올 상반기 누적 실적은 매출 7921억원, 영업이익 939억원, 당기순이익 681억원이었다.

제주항공은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요인으로 ‘일본, 동남아 위주의 탄력적인 노선 운영’을 꼽았다.

제주항공은 8월 기준 국적 저비용항공사(LCC) 중 가장 많은 37개 도시, 50개의 국제선, 6개의 국내선을 운항하고 있다.

전체 국제선 중 일본이 14개 노선(28.6%)으로 가장 많고, 중화권이 13개 노선(26.5%), 필리핀이 6개 노선(12.2%), 베트남이 5개 노선(10.2%), 대양주가 4개 노선(8.2%)으로 뒤를 이었다.

탄력적인 노선 전략을 펼치며 리오프닝에 따른 ‘펜트업(pent-up, 억눌렸던 소비가 늘어나는 현상)’ 수요를 흡수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올 하반기부터는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단 확대를 통한 공급 확대, 노선 다변화에 집중한다.

차세대 항공기인 ‘B737-8’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성수기 기간 항공기 가동률을 극대화한다. 신규 목적지 발굴을 통해 노선 다변화에도 나선다.

기존 운용리스 방식이었던 항공기 운용방식을 직접 구매 형태로 전환해 고정 비용도 절감한다. 연료효율이 개선된 차세대 항공기 도입으로 연료비 절감 효과도 노린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항공업계 전통적 비수기임에도 선제적인 변화 관리와 탄탄한 내부 수익 구조를 바탕으로 흑자 기조를 이어나가고 있다”면서 “경쟁사 대비 월등한 원가 경쟁력과 기재 확보를 통한 기단 경쟁력으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jiy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