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미·송아 北 유튜브 채널 차단 이유는…국정원 요청 있었다
방송통신심의위, 지난 5일 차단 의결
평양 여성 '연미'. [중국판 유튜브 '비리비리' 캡처]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송아', '유미' 등 북한 여성들이 등장하는 북한 유튜브 채널들이 일제히 접속이 차단된 가운데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국가정보원의 요청에 따라 조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23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방심위는 지난 5일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돼 온 북한 체제 선전 유튜브 채널들에 대한 접속 차단을 의결했다.

국정원이 방심위에 '송아'(샐리 파크스)·'유미'(올리비아 나타샤-유미 스페이스 DPRK 데일리)·'NEW DPRK' 등 북한 체제를 선전해온 유튜브 채널 3개의 접속 차단을 요청해 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정원은 북한 체제 선전 콘텐츠를 발견하면 방심위에 차단을 요청해왔다.

평양냉면 '먹방' 중인 유튜버 유미. [유미의 공간 유튜브채널]

현재 해당 채널들에 접속하면 '이 채널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뜬다.

그동안 이들 채널에서는 젊은 여성과 여자아이 등이 등장해 영어로 북한 사회의 모습을 소개해왔다. 그러나 일부 특권층만 누릴 수 있는 취미 활동이나 위락시설 등이 등장해 일반 북한 주민들의 삶과는 거리가 멀고 체제를 미화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CNN을 비롯한 외신들은 북한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책이나 영화 등 해외 콘텐츠 접근도 금지돼 있어 유튜브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북한 유튜버 ‘유미’ [유튜브 캡쳐]

전문가들은 북한의 선전 당국이 '우리민족끼리'를 비롯한 노골적 체제 선전용 채널들이 서비스 약관 위반을 이유로 차단되자 비교적 가볍고 부드러운 분위기의 브이로그 채널들을 등장시킨 것으로 본다.

방심위는 앞으로도 비슷한 채널들에 대해 국정원이나 경찰 등 요청이 있으면 절차에 따라 심의 후 접속 차단할 계획이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