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금 대신 카드·페이’에 ATM줄고 현금수송회사 경영 악화 등 부작용
화폐유통시스템 약화 조짐
“현금사용선택권 보장 관련 법 제정 필요”
주화 회수 키오스크 배치 등 대응 고려
최근 화폐 사용 감소로 화폐 유통 업체 경영이 악화하면서 화폐유통시스템이 악화할 조짐이 나타났다. [사진공동취재단]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최근 ‘현금없는 사회’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운영업체 등 화폐 부문 경영 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들 업체 수익성이 저하될 경우 사업 규모가 축소되면서 국내 화폐유통시스템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어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김근영 발권국장 주재로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최근 화폐 수급 동향, 국내 화폐유통시스템 현황 및 시스템 안정적 운영을 위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23일 밝혔다.

김 국장은 “국민들의 경제활동을 원활히 뒷받침하고 화폐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하기 위해선 화폐유통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이 중요하다”면서 시스템 참가 기관들의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내 화폐유통시스템의 약화 우려가 제기됐다. 현금 공급·유통 사업은 일정수준 이상의 거래가 필요한 규모 사업으로, 현금 사용이 감소하면 단위비용을 증가시켜 현금 인프라 운영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최근 ATM 이용 횟수, 현금 수송 및 정사 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비금융 ATM 운영업체, 현금수송회사 등 화폐 부문 경영이 어려워졌다.

이들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비용 절감, 사업다각화 및 금융기관과의 수수료 조정 협의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앞으로 화폐취급사업 수익성이 더 저하되면 사업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회의 참석자들은 ‘현금없는 사회’ 전환 과정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화폐유통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금사용선택권 보장 관련 법률 제정 등 제도적 뒷받침 ▷지역·연령에 따른 화폐사용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방안 수립 ▷소매·유통업체 등의 매장 내에 주화 회수가 가능한 기기(키오스크) 배치 고려 등을 제시했다.

한은은 “앞으로도 협의회는 회의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바탕으로 참가 기관간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하면서 화폐유통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oon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