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라면, 美서 대박”…농심 1분기 영업익 전년比 85.8%↑
농심 CI [농심 제공]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농심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8604억 원, 영업이익 638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6.9%, 영업이익은 85.8% 성장하며 실적 호조를 이뤄냈다.

농심은 국내외에서 매출 확대로 인한 고정비 감소 효과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농심의 1분기 성장을 이끈 것은 미국 법인이다. 올해 1분기 농심 미국법인의 총매출액은 164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2억원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154억원 가량 오른 180억원을 기록했다. 농심 전체의 영업이익 증가분 294억원 가운데 미국법인 증가분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농심 2023년 1분기 실적 [농심 제공]

해마다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오던 농심 미국법인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40.1%로 큰 폭의 성장을 이뤘다. 여기에는 미국 제2공장 가동으로 인한 공급량 확대가 주효했다.

농심 라면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인에게 든든한 한 끼 식사로 인식되기 시작하며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뜨거운 인기를 누리고 있다. 제2공장 고속라인 가동으로 인해 수요에 응답할 수 있는 원활한 공급이 가능해지며 매출이 크게 성장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대형마트인 샘스클럽(Sam's Club)에서 117%, 코스트코(Costco)에서 57%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미국 현지 유통선에서 큰 폭의 성장을 이뤄내며 미국인이 더 많이 찾는 식품으로 자리매김했다.

농심 배홍동 브랜드 [농심 제공]

이와 더불어 지난해 2분기 미국 시장에서의 가격인상(평균 9%)과 4분기 이후 국제적인 해상운임 안정화 추세 역시 영업이익 증가에 힘을 더했다. 농심은 미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제3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다.

올해 3월 농심 본사에서 열린 정기주주총회에 참석했던 신동원 회장은 “미국 제3공장을 동부에 추진하는 내용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농심의 제3공장 검토는 제2공장 가동을 시작한 지 1년 만으로 미국 시장 확대와 더불어 해외 매출 비중을 높이는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3월 12일 농심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 딸기를 연중 생산하는 스마트팜 수출 MOU를 체결했다. 체결식 현장. [농심 제공]

농심은 내수시장 한계 등을 고려, 2025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50%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농심의 해외 매출 비중은 약 30%였다.

농심 관계자는 “1분기 미국 1·2공장의 평균 가동률은 70%대에 이르고 있으며, 최근의 성장률을 감안한다면 수년 내 제3공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스마트팜 수출, 농심 배홍동 브랜드 신제품 확대 등으로 농심은 매출 규모를 늘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 시도하고 있다. 농심 배홍동 쫄쫄면의 경우 2월 27일 출시 후 40여 일(4월10일까지) 동안 45억원, 배홍동비빔면은 4월 10일까지 55억원이 팔린 상태다.

hop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