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감원, 부동산 펀드 실태조사 착수

금융감독원이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 대상 실태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이후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국내 증권사·자산운용사 등이 대출금 상환에 실패했다는 소식에 해외 상업용 부동산 펀드를 들여다본 데 이어 국내 부동산 펀드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판단에 따라 긴급조사에 나선 것이다.

1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 자산운용국은 지난 12일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와 금융투자협회를 대상으로 ‘공모 부동산 펀드’에 대한 실무간담회를 개최, 현황·실태 조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관련 펀드 관리 강화를 당부했다고 알려졌다. 부동산 자산 가치 하락에 대출 금리 상승으로 차입비용이 늘면서 원본 손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동산 공모 펀드 (만기 등) 운용 상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라며 “현황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공모 부동산 펀드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지만, 개인 투자자들이 많다보니 투자자 보호에 대해 신경을 써 달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각 운용사에 매월 업무보고서를 제출받는 것은 물론 자료를 수시로 요청해 국내외 부동산펀드의 손실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 부동산 공모 펀드의 투자심리도 얼어붙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 설정액(11일 기준)은 전년 대비 36% 감소한 5565억원을 기록했다. 펀드 수는 총 14건으로 ▷50억원 미만 3건 ▷100억~500억원 6건 ▷500억~1000억원 4건 ▷1000억~5000억원 1건으로 구성됐다. 수년간 저금리 기조 덕에 설정액은 1조2000억원대(2020년 5월)까지 치솟았지만 급격한 금리 인상과 상업용 부동산 침체가 맞물리면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유혜림·권제인 기자

forest@heraldcorp.com
ey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