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탄탄한 기업인줄 알았는데” 주가 조작에 우는 개미들…금융위 칼끝 ‘윗선’으로
SG증권발 무더기 하한가 사태가 발생한 지난 2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스크린에 지수가 띄워져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지영·김영철 기자] #. 직장인 A씨(30)는 지난해 8월부터 대성홀딩스 주가 추이를 지켜보다 지난 3월 500만원을 투자했다. A씨는 “대성홀딩스 정도면 실체가 있는 탄탄한 기업이라 생각해 주가 조작이 있을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며 “500만원이 100만원이 됐는데 매도가 안돼 ‘손절’도 못하고 있다. 금융 당국이 시세 조종을 미리 눈치채고 제재를 했다면 잃지 않았을 돈”이라며 허탈해했다.

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 이면에 시세 조종 세력이 있다는 의혹이 커지면서 개미 투자자들의 한숨이 짙어지고 있다.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았던 지난 해에도 꾸준히 우상향했던데다 이름 있는 중견 기업이었기에 믿고 투자한 사람들이 많다.

28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강남 H투자 컨설팅 업체 주가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금융당국은 컨설팅 업체에 상부 조직이 있다고 보고 윗선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위원회는 전날인 27일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서울남부지검과 합동으로 H업체의 서울 강남구 사무실과 관계자 명의 업체, 주거지 등 10곳을 압수수색했다. 지난 24일에는 남부지검이 주가조작 가담자로 의심되는 10명을 출국금지 조치했다.

사건은 지난 24일 외국계 증권사 소시에테제네랄(SG) 증권을 통해 대성홀딩스, 선광 등 8개 종목에서 매물이 쏟아지면서 불거졌다. 짧게는 1~3년가량 기간을 두고 꾸준히 주가가 상승한 종목들이다. H업체는 유명 연예인과 고소득 전문직 등을 투자자로 모집, 통정거래 방식으로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통정거래는 매도자와 매수자가 가격을 정해 주고받으며 주가를 끌어올리는 수법을 말한다.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자 H업체 투자자 외에 개인 투자자들도 몰려들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등에서는 적게는 수백명, 많게는 1000명 이상 개인 투자자들이 모여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100만원 단위 소액 투자자부터 수천만원을 투자해 큰 손실을 봤다는 이들까지 다양하다. 직장인 강모(30)씨는 “지난해 초 서울가스에 100만원을 투자했는데 지금 수익률이 -30%다. 오래 투자할 생각이어서 더 돈을 넣으려던 찰나에 폭락했는데 소액에 그쳐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배당주 수익률 20위 안에 들 정도로 믿음이 가는 종목이어서 의심하지 못했다”며 “이렇게 급락 위험이 높아질 때까지 금융당국은 뭘 한건지 모르겠다. 단순히 투자자 책임으로만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급락 종목 8개 중 5개가 코스피 시장에 상장됐다. 서울가스, 삼천리 등 일부 종목은 증권사가 지난해 11월 리포트를 통해 주가가 추가 상승할 것이라며 매수를 추천하기도 했던 종목이다. 비교적 주가 조작 위험이 낮다고 평가받던 코스피 시장에서 대형 사고가 터지면서 시장 전체 신뢰도가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스피에서도 종종 주가 조작 시도가 발견되지만 이 정도 규모로 이루어진 적은 없다”며 “2019년에 생긴 CFD(차액결제거래) 계좌로 매입하고, 2020년 이후 공매도가 계속 중지된 종목만 고르는 등 매우 치밀하게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시장 전체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CFD는 현물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초자산의 진입가격과 청산가격 간 차액을 현금으로 결제하는 장외 파생상품 거래다.

전문가들은 주가 조작 사태 원인을 솜방망이 처벌로 꼽았다. 박경서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거래소에 감시 시스템이 있다 해도 수천 종목 중 조금씩 오르는 종목을 사전에 캐치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며 “결국 엄벌주의가 답이다. 사후 주가조작으로 누군가 얻을 이득을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선임연구위원 또한 “주가 조작을 100% 막는 시스템을 어느 국가에도 없다. 미국이 사후 처벌을 강하게 하는 이유”라며 “국내는 주가 조작 유죄 판결을 받아도 징역 2~3년에 그친다. 사법부가 사회적 기대에 맞게 양형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park.jiyeong@heraldcorp.com
yckim6452@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