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토록 안나가던 집…2월 20조원어치 팔렸다 [부동산360]
거래량·매매거래금액 모두 올라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지난 2월 부동산 매매거래가 직전월인 1월보다 34.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골자로 발표한 ‘1·3대책’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빅데이터 및 AI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지난달 15일 기준)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3년 2월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거래 특성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모든 유형의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직전월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2월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7만8950건으로 지난 1월 5만8690건 대비 34.5% 상승했다. 전년 동월 거래량(9만7042건) 수준에는 못 미쳤지만, 지난해 4월 이후 이어온 하락세가 멈췄다.

특히 아파트 거래 변화가 두드러졌다. 2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3만241건으로 직전월 1만9280건 대비 56.9%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모든 부동산 유형 중 유일하게 지난해 동월 대비 거래량이 증가(31.6%)했다. 특히, 전국 17개 시도 중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직전월 대비 적게는 30.7%(전라남도)에서 많게는 82.6%(세종특별자치시)나 거래량이 상승했다.

아파트(56.9%) 다음으로는 오피스텔(46.8%), 단독·다가구(37.7%), 상가·사무실(35.5%), 연립·다세대(31.1%), 상업·업무용빌딩(23.8%), 토지(19.3%) 순으로 1월 대비 거래량이 증가했다.

2월 부동산 매매거래금액은 토지를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직전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14조5002억원에 머물렀던 매매거래금액은 20조1459억원으로 38.9% 불어났다. 매매거래금액 역시 전년 동월인 2022년 2월(25조 2444억원) 수준까지 회복하지는 못했으나,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으로 매매거래금액 20조 대를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직전월 대비 64.3%로 가장 크게 증가했고 뒤이어 연립·다세대(51.5%), 오피스텔(42.6%), 상가·사무실(41.6%), 단독·다가구(30.2%), 상업·업무용빌딩(13.9%) 순으로 나타났다. 토지의 경우 -1.8%를 기록하며 1월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