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세사기 피해자, 살던 집 낙찰 받으면 ‘무주택’으로 인정
청약 시 불이익 없도록 유주택 기간서 제외
서울 남산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빌라들의 모습.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lad]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전세로 살던 집이 경매로 넘어가 보증금을 건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주택을 낙찰받는 세입자가 '무주택자'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주택공급규칙 개정안을 오는 7일 입법예고한다고 6일 밝혔다.

개정안은 법제처 심사 등 절차를 거쳐 다음 달 초 시행될 전망이다.

무주택 인정 대상은 임차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경매 또는 경매로 거주 주택을 낙찰받아 떠안은 전세사기 피해자다.

단, 경매에서 낙찰받은 주택이 공시가격 3억원(지방 1억5000만원) 이하, 전용면적은 85㎡ 이하여야 한다.

빌라로 불리는 다가구·다세대 주택에 살던 세입자가 낙찰받는 경우 구제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세입자가 거주 주택을 낙찰받으면 유주택자로 분류돼 청약 때 무주택 기간에 따른 가점을 받을 수 없고, 특별공급 신청도 할 수 없었다.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수차례 제도 개선을 요구했던 내용이다.

국토부는 주택공급규칙 시행 전 주택을 낙찰받은 경우도 소급해 무주택자로 인정하기로 했다.

무주택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전세계약서, 경매 또는 공매 낙찰 증빙서류, 등기사항증명서 등의 자료를 청약 신청 때 사업 주체에 제출하면 된다.

예를 들어 무주택으로 5년을 지내다 주택을 낙찰받아 3년간 보유한 경우 무주택 기간 8년을 인정받을 수 있다.

무주택 기간이 5년인 상태에서 낙찰 주택을 3년간 보유한 뒤 처분했고 이후 다시 무주택으로 2년을 보내다 청약 신청을 한 경우에는 무주택 인정 기간이 10년이 된다.

전세사기 피해자가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 공공임대주택(분양전환 포함)을 신청할 때는 무주택 인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