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BIE 실사 본격 시작, 부산엑스포 유치 총력…실사단 5박6일 일정 방한
4일 부산 찾아 북항 개최예정지·을숙도 생태공원 등 실사
첨단기술로 부산엑스포 미래모습 제시…민·관 총력 유치전
실사보고서 6월말 회원국에 공개…11월 말 총회서 개최지 결정
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서 세계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박형준 부산시장과 윤상직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사무총장 등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실사단은 7일까지 서울과 부산에서 방한 일정을 수행한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정태일 기자]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2030세계박람회 개최 후보지인 부산의 부산의 준비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아 본격 실사에 착수했다. 우리 정부와 기업 등 민관은 첨단기술과 K컬쳐를 융합한 차별화된 준비로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총력전을 펼친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BIE 실사단 단장인 파트릭 슈페히트 행정예산위원장을 비롯해 디미트리 케르켄테즈 사무총장, 케빈 아이작 세인트키츠네비스 대표, 마누엘 잘츠리 스위스 대표, 페르디난드 나기 루마니아 대표 등 8명의 실사단원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전날 입국했다.

실사단은 오는 7일까지 부산 북항 박람회 개최 예정 부지와 주요 명소를 방문해 현지 실사를 진행하고, 정부·국회·기업 주요 인사를 만나 유치 계획을 들을 예정이다.

실사단은 이날 이창양 산업부 장관 면담에 이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1차 유치계획 발표, 유치위 민간위원장인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주재 경제인 오찬 등에 이어 박진 외교부 장관과 김진표 국회의장, 한덕수 국무총리를 잇달아 면담한다. 이어 광화문광장에서 진행 중인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행사 ‘광화에서 빛;나이다’에 참여해 한국의 부산엑스포 유치 열기를 체험한다.

4일에는 부산을 찾아 을숙도 생태공원을 탐방한 뒤 유치위의 2차 유치계획 발표가 진행된다. 을숙도 생태공원에서 치료가 끝난 동물들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체험을 통해 실사단에게 부산엑스포의 세부 슬로건인 ‘자연과의 지속 가능한 삶’을 각인시킨다.

5일에는 박람회 개최 예정 부지인 부산 북항을 방문한다. 유치위는 부산여객터미널 내 홍보관과 전망대에서 디오라마(축소 모형)와 3D를 결합한 영상을 통해 실사단에 2030년 부산엑스포의 미래 모습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시민단체와의 오찬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유치 의지와 관심을 보여주고, 부산 북항을 관할하는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과의 면담도 진행한다.

실사 일정이 마무리되는 6일에는 유치위의 4차 유치계획 발표를 진행한 뒤 UN 기념공원을 찾아 세계 평화 구현이라는 엑스포의 의미를 새기고, 유학생을 포함한 2030 세대와 오찬을 할 예정이다.

이번 실사단 방문 준비에는 주무부처인 산업부와 해수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외교부를 비롯해 부산시와 대한상의까지 관계 부처·기관들이 6개월간 총동원됐다.

실사단은 다음달까지 실사 보고서를 작성해 오는 6월 말 총회에서 171개 BIE 회원국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후 11월 말 총회에서 회원국 투표를 통해 개최지가 최종 결정된다. 현재 2030 세계박람회 유치에는 우리나라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와 이탈리아, 우크라이나가 경쟁 중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경쟁 도시 대비 부산 만이 갖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실사단에 전하기 위해 일정 기획에 만전을 기했다”며 “5박 6일간 실사단이 최고의 환대 속에서 우리의 개최 역량과 유치열기를 제대로 느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