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 잔치한 은행, 은행원은 잘랐다…4년간 일자리 4444개↓
고용 규모 예년만 못해
점포·ATM도 줄어
1인당 생산성은 3억 웃돌아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은행권의 고용 창출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이른바 '돈 잔치' 비판을 받은만큼 사상 최대 수익을 올리고는 있지만 오히려 고용 규모는 감소하는 셈이다.

19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직원수는 모두 6만9751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18년 말(7만4195명)과 비교하면 4444명 감소한 것으로, 매년 10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줄어든 셈이다.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은행의 직원수가 1만6978만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2018년 말(1만8071명)과 비교하면 1093명 줄었다.

4년간 직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은행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으로 각각 1만5389명과 1만3229명에서 1만3913명과 1만1753명으로 1476명씩 줄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은 1만3995명에서 1만3604명으로 391명 감소했고, NH농협은행은 1만3511명에서 1만3503명으로 8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지난해 말 기준 이들 5대 은행의 임원 수는 142명으로 2018년 말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

KB국민의 임원수가 이 기간 24명에서 39명으로 15명 늘어났고, 신한(30→32명)과 NH농협(21→23명)은 2명씩 증가했다. 반면, 하나(35→24명), 우리(32→24명)는 임원수가 대폭 줄었다.

은행 오프라인 점포와 ATM도 급감했다. 코로나19 기간 인터넷 및 모바일 뱅킹 전환이 가속화된 영향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국내 점포(지점·출장소·사무소)는 4014개로 2018년 말(4732개) 대비 718개 감소했다.

지역 시군구 등에도 점포가 있는 NH농협이 지난해 말 기준 점포수가 1114개로 5대 은행 중 가장 많았고, KB국민(856개), 신한(738개), 우리(713개), 하나(593개)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ATM 수는 2만3730개로 2018년 말(3만1096개)과 비교하면 4년간 7천366개, 연평균 10842개가 사라졌다.

은행원 1인당 및 점포당 생산성은 크게 높아졌다. 직원수는 감소세를 지속했지만 지난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은행권이 사상 최대 수익을 올린 결과다.

충당금 적립전 이익 기준으로 계산하면 지난해 KB국민이 5조원(5조1499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렸고 신한(4조7001억원), 하나(4조4675억원), 우리(4조2369억원) 등도 4조원대로 집계됐다.

NH농협은 3조6865억원의 충당금 적립전 이익(농업지원사업비 부담전 기준)을 올렸다.

이에 따라 지난해 은행 1인당 생산성(충당금 적립전 이익/직원수)을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3억8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3억4700만원), 우리(3억500만원), KB국민(3억300만원), NH농협(2억73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이들 은행의 2018년 1인당 생산성이 2억원 안팎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대폭 높아진 셈이다.

2018년 1인당 생산성은 신한 2억4200만원, 하나 2억1100만원, NH농협 2억300만원, KB국민 1억8400만원, 우리 1억6200만원 등이었다.

지난해 은행 점포당 생산성(충당금 적립전 이익/점포수)을 살펴보면 하나은행이 75억34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신한(63억9600만원)과 KB국민(60억1600만원)도 60억원이 넘었다. 우리는 59억4200만원으로 집계됐다. NH농협은 점포수가 많은 영향으로 점포당 생산성은 33억900만원으로 조사됐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