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체 혁신 글로컬 지방대 30곳 선정, 5년간 1000억원씩 지원
교육부 ‘글로컬대학 30’ 시안 공개
단 5쪽 기획서만으로 선정 가능케

교육부가 지역 사회와 산업의 급격한 변화를 감안해 자체 혁신하는 지방 대학 30곳을 선정,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30’의 시안을 공개했다.

글로컬대학 30은 오는 2027년까지 비수도권 대학 30곳을 선정, 1개교당 5년간 1000억원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글로컬대학위원회와 세종청사에서 공청회를 열고, 16일 추진방안 시안을 밝혔다.

재정사업 신청 과정에서 대학이 지나치게 많은 분량의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부담을 감안, 글로컬대학 30에서는 핵심만 담은 5쪽 분량의 ‘혁신기획서’로 평가할 계획이다.

기획서에는 ▷지역혁신을 위한 산학협력의 허브로 역할 ▷대학 안-밖, 대학 내부의 경계를 허무는 유연한 대학 운영 ▷브랜드 가치를 지닌 선도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장기 혁신 계획 ▷대학의 운영 성과 및 지역사회 기여도의 투명한 공개 등이 담겨야 한다.

대학들은 이를 위해 학사 구조를 변경하거나 교육과정을 융합해 신산업에 적합한 구조의 교육안을 내는 등을 시도할 수 있다. 지역 사회와 협업해 다양한 학과제도를 운용하는 것까지 여러 방안이 열려있다.교육부의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시범 지역으로 선정된 곳에서 대학들이 글로컬 30 사업도 신청하면, 라이즈와의 연계성도 들여다 볼 계획이다.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되면 재정지원 뿐 아니라 규제 개혁 특례도 적용받게 된다. 단, 성과가 미흡하면 컨설팅을 지원하고, 그 이후에도 개선이 어렵다면 지원을 중지하거나 필요한 경우 사업비 환수까지 검토할 계획이다.

글로컬 대학 선정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글로컬대학위원회가 맡고, 비수도권 대학만 신청할 수 있다. 올해 10곳 내외를 지정하면서 시작할 예정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글로컬 대학을 시작으로 대학이 담대한 변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범부처, 지자체와 함께 장벽 없는 지원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도현정 기자

kate0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