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대금융지주는 감소했는데...기업은행 배당 31%로 확대
최대주주는 기획재정부
서울 중구에 위치한 기업은행 본점 전경. [IBK기업은행 제공]

기업은행이 지난해 기준 배당성향을 31.2%로 책정하며, 2021년에 이어 배당 확대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금융지주의 평균 배당성향이 소폭 감소한 것과 대조된다. 금융당국이 정부 배당비율이 높은 국책은행의 배당확대는 묵인하고, 민간 금융사에만 주주환원을 억제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주당 960원, 배당성향 31.2%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다. 기업은행의 배당성향은 2020년(29.5%)·2021년(30.7%)에 이어 증가세다. 총배당액도 전년 대비 1400억원가량 늘어난 7655억원이다.

기업은행의 최대 주주는 기획재정부다. 지난해말 기준 59.5%의 지분을 들고 있다. 기재부가 결산 배당을 통해 받는 금액은 약 4553억원이다. 전년(3701억원) 대비 800억원 가량 늘었다. 애초 정부가 한전 등 에너지 공기업의 실적 부진에 따라 기업은행에 배당 확대를 요구할 것으로 봤는데, 예상대로였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둔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는 대손충당금 적립 등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따라 주주환원책 속도조절에 나섰다는 평가다. 4대 금융지주의 평균 배당성향은 25.45%로 전년(25.83%) 대비 소폭 줄었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이 배당성향을 늘렸지만, 신한금융의 배당성향은 26.04%에서 22.8%로 낮아졌다. 우리금융을 제외한 금융지주 3곳은 각각 1500~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발표하며 총주주환원율을 높였다. 향후 주주환원 확대 방안도 내놨다. 그러나 환원 계획에도 보통주자본비율(CET1) 등 건전성 유지 조건을 내걸며, 금융당국과 주주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아야 했다. 당국이 정부배당 금융사와 민간 금융사간 ‘이중잣대’를 적용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지점들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0년 결산 당시 은행과 금융지주에 배당성향 상한 20%를 제시했는데, 기업은행을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손실이 발생하면 정부가 보전한다는 이유를 들었다. 그러나 농민이 주축인 조합원들에게 배당이 되는 농협금융도 예외 적용을 받지 못해 형평성 논란 등이 일었다.

일각에선 정부 지분이 과반을 넘는 국책은행과 외국인 주주 비율이 높은 민간 금융사에 대한 정책 기준은 다를 수밖에 없다는 반박도 한다. 이에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기업은행도 나머지 40%가량은 민간 지분이고 시중은행 주주과 차별을 두는 건 ‘이중 잣대’에 가깝다”고 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배당성향 31.2%는 기업은행의 직전 5개년 배당성향(평균 30.7%) 및 올해 시중은행들의 배당 결과를 고려해 결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우 기자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