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강제성 부정’ 美 램지어 “논문 철회하지 않고 계속 쓸 것”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하버드대 로스쿨 유튜브 캡처]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일제강점기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한 왜곡 논문을 발표해 학계에 파문을 일으킨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일본 언론에 “논문을 철회하지 않고 앞으로도 쓰겠다”고 말했다.

램지어 교수는 우익 성향 산케이신문이 12일 보도한 인터뷰에서 “매일 수십 통의 항의 이메일을 받는다”며 이 같이 밝혔다. 산케이는 2년 전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라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소개한 매체다.

그는 학술지 법경제학국제리뷰(IRLE)가 자신의 위안부 연구 논문 게재 철회 요구를 거부한 것을 계기로 진행한 일본어 인터뷰에서 “논문을 철회하지 않아 잘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IRLE를 발행하는 네덜란드 출판사 엘스비어는 역사학자들이 제시한 의견을 종합해 논문 철회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지만,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 ‘우려 표명’을 유지하기로 했다.

학자들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역사학계에서 기존에 합의된 내용을 뒤집을 만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램지어 교수는 “분하다”며 “미국과 유럽에서 대부분의 일본 연구자는 위안부 제도에 대해 전혀 모른다”는 억지 주장을 폈다.

이어 자신의 주장이 한국인 전체가 아니라 좌파를 난처하게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위안부 강제성의 허구성을 실증하는 예로 요시다 세이지가 1983년 펴낸 책 ‘나의 전쟁범죄’를 들면서 “요시다의 사기적 증언으로부터 만들어진 위안부 문제의 진실이 내 논문을 통해 영어 문헌으로 남게 됐다”고 자평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요시다가 “일본군의 명령으로 제주도에서 많은 여성을 사냥했다”는 취지의 허위 사실을 발표했다는 점을 들어 2021년 ‘종군 위안부’ 대신 ‘위안부’라는 표현을 쓰도록 결정한 바 있다.

많은 학자가 위안부의 강제성을 입증하는 여러 문헌과 피해자 증언을 발굴했지만, 램지어 교수는 이를 외면했다.

아울러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한 철회 요구가 좌파적 시각을 지닌 젊은 학자들 주도로 이뤄졌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미국에서 학문의 자유는 중요한 문제이고, 학자가 여러 의견을 갖고 자유롭게 쓰는 것이 상식”이라며 “지금 30∼40대 학자는 자신이 볼 때 바람직하지 않은 의견을 발표하면 문제시하고 따돌리려 한다”고 했다.

이어 “미국 대학에서 문과 계열 교수는 대부분 좌파”라며 “교수들이 좌익이고 매우 지독해 학생이 모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램지어 교수는 문제가 된 ‘태평양 전쟁의 성계약’ 논문에서 조선인 위안부는 공인된 매춘부이고 일본에 납치돼 매춘을 강요받은 ‘성노예’가 아니라고 주장해 사실을 왜곡했다는 거센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그는 일본학에 대한 공헌과 일본 문화 홍보를 이유로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은 바 있다. 하버드대 로스쿨에서 ‘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