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스타트업 돈줄’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에 ‘정부 개입’ 촉구 목소리
예금주 대부분 스타트업…줄도산·대량해고 우려
“다른 은행이 인수해달라”…“중견은행 신뢰 하락 불가피”
미국 스타트업 ‘돈줄’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하면서 고객이 은행 앞으로 나와 사태를 살펴보고 있다. [AFP)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미국 스타트업 ‘돈줄’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하면서 정부가 개입해 그 여파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2일 미국 경제매체 CNBC 등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투자자들은 SVB를 다른 은행이 인수하도록 정부의 개입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현재 SVB의 총예금 중 예금 보호 한도 25만달러(3억3000만원)를 넘어서는 예치금은 전체 95%에 달한다. 예금자 대부분이 스타트업인 상황에서 이들의 자금이 묶이게 되면 줄도산과 대량 해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또 총예금이 2500억달러(330조원) 미만의 중견 은행에 대한 신뢰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벤처 투자가 데이비드 삭스는 트위터에 “파월은 어디에 있나? 옐런은?”이라며 “지금 이 위기를 멈추고 모든 예금이 안전할 것이라고 발표하라”고 말했다.

이어 “SVB 예금을 상위 4개 은행에 분산 배치해야 한다”며 “월요일 전에 이것을 하지 않으면 위기는 확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억만장자 투자자 빌 애크먼도 트위터에 “정부는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바로잡을 시간이 48시간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JP모건이나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월요일 주식시장 개장 전에 SVB를 인수하지 않거나 SVB 예금 전체를 정부가 보증하지 않으면 예금 보호가 안 되는 모든 예금을 인출하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회사 벤치마크 파트너인 에릭 비슈리아는 “SVB의 예금자를 모두 구제하지 못하면 작은 은행들이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미국 16위 규모의 은행에 예치해 둔 예금이 보호받지 못하면 비슷한 규모 이하의 은행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은 앞서 10일 불충분한 유동성과 지급불능을 이유로 SVB를 폐쇄하고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파산 관재인으로 임명했다.

FDIC는 ‘샌타클래라 예금보험국립은행(DINB)’이라는 법인을 세워 SVB의 기존 예금을 모두 새 은행으로 이전하고, SVB 보유 자산의 매각을 추진한다.

FDIC 조치에 따라 25만달러의 예금보험 한도 이내 예금주들은 13일 이후 예금을 인출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돈을 예치한 예금주들은 자금이 묶이게 됐다.

FDIC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SVB의 총자산은 2090억달러(약 276조원), 총예금은 1754억달러(약 232조원)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