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속보]1월 경상수지 ‘사상 최대 적자’ 45.2억달러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서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한국 경제를 지탱해온 수출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다. 반면 수입은 늘어나 무역적자 행진이 1년째 이어졌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1월 경상수지가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반도체 등의 수출이 급감하면서 상품수지가 대폭 감소했고, 서비스수지도 적자폭이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3년 1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는 45억2000만달러 적자로 지난해 1월보다 67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월간 기준 가장 큰 적자 규모다.

지난해 11월 2억2000만달러 적자에서 12월 26억8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던 경상수지는 2개월 만에 다시 적자로 전환했다.

항목별 수지를 보면 상품수지가 1년 전 15억4000만달러 흑자에서 1월 76억6000만달러 적자로 전환하면서 경상수지를 끌어내렸다. 상품수지는 4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이 480억달러로 1년 전 대비 83억8000만달러(-14.9%) 줄어들며 5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반도체(-43.4%), 철강제품(-24.0%) 등의 수출이 대폭 줄었다.

지역별로는 유럽연합(EU)(0.3%)을 제외하고 중국(-31.4%), 동남아(-27.9%), 일본(-12.7%), 미국(-6.0%) 등 대부분 지역으로의 수출이 크게 위축됐다.

반면 수입은 554억6000만달러로 1년 전 대비 6억2000만달러(1.1%) 증가했다. 원자재(-5.3%)와 자본재(-1.5%) 수입이 줄었으며 소비재(3.9%) 수입은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32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적자폭이 24억4000만달러 확대됐다.

운송수지(1억2000만달러)의 흑자폭이 17억7000만달러 축소되고, 여행수지(-14억9000만달러)의 적자폭은 9억4000만달러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63억8000만달러로 흑자 규모가 1년 전보다 45억1000만달러 확대됐다.

이전소득수지는 1억6000만달러 적자를 시현했다.

금융계정은 순자산이 6억4000만달러 감소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17억7000만달러, 외국인 국내투자가 11억7000만달러 늘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36억9000만달러, 외국인 국내투자가 54억달러 증가했다.

파생금융상품은 15억달러 감소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