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트라 ‘바이 아메리카 세미나’…“美 조달시장 진출기회 모색”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개최…국내 60여개사 참여
[코트라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7일 산업통상자원부과 강남 페이토 호텔에서 ‘미국 조달시장 및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는 코트라와 한국조달연구원, 법무법인 광장 등 관계자가 연사로 나섰다. 국내 관심기업 60여 개 사가 참가해 최근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바이 아메리카 규정은 미국 정부가 예산을 투입하는 인프라 사업에 미국산 철강, 제조품 등 건설 자재 사용을 의무화하는 미국산 조달 특혜제도다. 바이든 정부는 취임 이후 바이 아메리카 정책 총괄실(MIAO)을 신설했으며, 2021년 인프라 투자 및 고용법(IIJA)을 통해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올해 2월에는 바이 아메리카 세부 지침과 전기차 충전기 부문 미국산 의무화 지침을 잇달아 발표했다.

윤창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은 개회사에서 “미국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자재와 부품에 대해 자국산 사용 의무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며 “바이 아메리카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우리 업계의 미 조달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한국조달연구원, 코트라, 법무법인 광장에서 바이 아메리카 동향과 현지 반응 등을 분석했다.

이미정 한국조달연구원 해외조달연구센터장은 “미국 연방정부조달시장은 연간 6000억 달러의 최대 규모 시장”이라며 “여러 어려움이 있으나 우리 기업이 꾸준히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양은영 코트라 지역통상조사실장은 “바이 아메리카 확대로 인해 미국 현지에서도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전미건설협회(AGC) 설문에서 응답기업의 93%가 자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2월 바이 아메리카 개정 발표 이후 3월 13일까지 해외 정부 및 업계의 의견서를 받고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는 우리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모아 제출할 예정이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