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 유전 개발, 서방 장비·기술 없어 난항
서방 유전 서비스 업체 대부분 철수
비우호국 기업 비중 15%로 하락
“2030년 석유 생산랼 20% 감소” 전망
러시아 옴스크 지역의 가즈프롬 정유 시설 [타스]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서방 제재로 러시아가 최첨단 기술·장비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전 개발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3일(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에 따르면 지난해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후 미국 석유채굴기업 할리버튼(Halliburton)과 미국 유전 개발회사인 슐룸베르거(Schlumberger) 등 서방의 유전 서비스 기업 대부분이 러시아에서 철수했다.

그 결과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러시아 유전 서비스 시장에서 비우호국으로 지정된 서방국가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20%에서 15%까지 떨어졌다.

지층 깊이 뚫은 구멍으로 물과 모래, 화학약품 등을 고압으로 밀어 넣어 자원을 채취하는 수압파쇄공법(프래킹) 분야에서 이들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넘는다. 연안에서 수행하는 시추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 중 수입산의 비중도 80%에 달한다.

하지만 제재가 강화되면서 러시아 유전 서비스 분야에 남아있는 나머지 서방 기업들도 운영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등 주요 7개국(G7)이 도입한 제재에 따라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일부 시추 장비의 공급도 중단된 형편이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단 유전 서비스 분야 역량을 높이지 못하면 기술 부족으로 석유 생산을 강제로 줄여야 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컨설팅 업체 '야코프와 파트너들'은 러시아 업체들이 서방의 기술과 장비 부족분을 대체할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면 2030년까지 석유 생산량이 20%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등에서 일부 첨단 기술 장비를 수입할 수 있지만서방의 최신 장비와 비교해 정확성과 효율성 등 면에서 뒤처진다.

현지 전문가 안드레이 스트렐초프는 "중국 장비와 기술을 러시아 현실에 적용하는 데는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