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北·中 사이버 위협 정조준…"北, 핵개발 자금 조달"
백악관, '사이버안보전략' 발표…북·중·러·이란 겨냥
"北, 암호화폐 절도·랜섬웨어 공격 일삼아"
"中, 가장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위협…국익 침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최근 북미 상공에서 발견된 4개 비행체들에 대한 정부 대응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미국은 이달 들어 북미 상공에서 발견된 중국 '정찰 풍선'과 뒤를 이은 미확인 비행체 3개를 잇따라 격추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미국 정부가 북한과 중국 등의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을 발표했다. 인프라 시설에 대한 적대국의 사이버 공격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핵심 인프라 시설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백악관은 2일(현지시간) "모든 미국인이 안전한 사이버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국가 사이버 안보 전략을 발표한다"며 "미국은 경제 안보와 번영을 성취하는 도구로서 사이버 공간을 재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때는 소수의 선진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해킹을 이제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과거 사이버 공간에서 미국의 이익에 해를 끼칠 역량이 없던 국가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악관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이란을 거론하고 "이들 정부를 포함한 다른 독재국들이 발전된 사이버 능력을 미국의 국익을 침범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며 "사이버 공간에서 규칙과 인권을 무시한 이들의 행동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이 민간과 정부 모든 영역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활발하며 지속적인 위협"이라며 "지난 10년간 중국은 사이버 활동을 지적 재산권 탈취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발전시켰으며, 미국의 국익을 위협하는 최대 전략적 경쟁자로 자리 잡았다"고 지목했다.

백악관은 "중국은 정찰 국가의 중추로 인터넷을 활용하며, 디지털 독재의 비전을 국경을 넘어 확산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북한과 관련해선 이란과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악의적인 활동을 수행하려는 정교함과 의지가 커지고 있다"며 "북한은 암호화폐 절도와 랜섬웨어 공격 등을 통해 핵 개발에 사용할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그간 북한의 불법 무기 개발 자금을 차단하기 위해 불법 사이버 활동을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확인해 왔다.

백악관은 북한과 이란의 "이 같은 역량이 성숙하면 미국과 동맹의 이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백악관은 이 같은 사이버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 인프라 부문에서 사이버 보안을 위한 최소 요건을 설정, 이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연방 정부 네트워크 근대화도 진행한다.

민간 부문과 협업을 통해 악의적인 사이버 행위자를 교란하고, 랜섬웨어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선 동맹과 국제적 협력을 심화한다.

개인 정보 보안을 강화하고,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책임도 촉구했다.

안전한 차세대 기술 개발을 위해 포스트 퀀텀 암호화, 디지털 신원 솔루션, 청정에너지 인프라 등 분야에 우선 투자하고, 사이버 공간에서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들과의 연대 구축에도 나선다.

핵심 당국자는 "우리는 불순한 의도로 자행되는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지구에서 몰아내기를 원한다"며 "핵심 인프라 분야에서 타깃을 설정하는 자체가 새로운 시도"라고 설명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