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업은 해야지”...정부 규제에도 스벅·맥도날드 등 美기업, 中투자 확대
중국 상하이시 번화가인 난징로가 인파로 북적이는 모습 [EPA]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미국 정부의 중국 투자 규제 강화에도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주요 기업들은 중국 투자를 확대하며 실속 챙기기에 나서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많은 미국 기업들이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한 중국 소비자를 노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로 매출이 타격을 입었지만 장기적으로 중국 소비시장이 유망하다는 판단 때문이라는 것이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중국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5.2%에서 5.5%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타벅스는 2025년까지 중국에서 매장 3000개를 새로 열겠다는 계획을 최근 내놨다.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내 스타벅스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42% 가량 급감했지만 중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에서 스타벅스는 아직 성장 초기 단계”라며 올해 봄 중국을 처음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맥도날드는 중국 내 매출 감소에도 올해 중국에서 신규 매장 900개를 열 계획이다. 스팸 제조사인 호멜은 상하이 외곽에 새 공장을 짓는 등 중국 내 영업을 대폭 키울 계획이다. 육류가공업체 타이슨푸드는 올해 새로 짓는 6개 공장 가운데 절반은 중국 공장이라고 밝혔다.

의류업체들도 바쁘다. 패션브랜드 코치의 모회사인 태피스트리는 신규 투자 계획 3억2500만달러 가운데 절반 가량을 중국의 신규 매장 개설과 개보수에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랄프로렌 역시 최근 선전와 청두에 플래그십 매장을 여는 등 신규 매장을 늘리고 있다.

중국 상하이의 한 영화관에서 한 시민이 미 마블의 슈퍼히어로 영화 ‘블랙팬서’ 상영 포스터를 촬영하고 있다. [AFP]

중국 정부는 이런 미국 기업을 두 팔 벌려 환영하고 있다. 지난 22일 중국 외교부는 소셜미디어(SNS) 공식 계정에 미 항공기 제조사 보잉 간부와 외교부 고위인사가 회동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중국 외교부는 “보잉을 비롯한 미국 기업을 위해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런가하면 2019년 이후 3년 7개월 만에 미 디즈니 산하 영화 제작사 마블의 슈퍼히어로 영화 개봉을 허용하기도 했다.

다만 WSJ은 중국 투자 확대는 소비재 부문 기업들이 중심이라고 전했다. 기술 및 제조업체들은 여전히 중국의 경제 건전성에 대한 불확실성과 긴장 심화에 따라 중국에 신중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