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아태 지역 핀테크 투자 사상최대”
KPMG, 2022 핀테크 동향 보고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글로벌 핀테크 투자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핀테크 투자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인 KPMG가 22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 지역 핀테크 투자는 2021년 502억 달러에서 2022년 505억 달러로 소폭 증가하며 전년도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특히 아·태 지역에서 핀테크 관련 인수합병(M&A)은 2021년 233억 달러에서 2022년 339억 달러로 45.5% 증가했다. 블록(Block)이 호주 최대 선구매·후지불 업체인 애프터페이(Afterpay)를 279억 달러에 인수한 메가 딜이 주효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태 지역 내 주요 벤처캐피탈(VC) 투자로는 한국의 금융 핀테크 기업 토스가 4억500만 달러, 인도네시아 젠딧(Xendit), 싱가포르의 앰버(Amber)와 볼트테크(Bolttech)가 각각 3억 달러를 조달에 성공했다.

지난해 M&A, 사모펀드(PE), VC에 걸친 글로벌 핀테크 투자는 6006건 1641억 달러로, 사상 최대였던 전년(7321건 2389억 달러) 대비 건수와 규모에서 다소 감소했다. 그러나 PE투자(97억 달러)와 VC 투자(805억 달러)는 사상 최대치인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강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미주 지역이 2021년 사상 최고치(1089억 달러) 대비 약 40% 감소한 686억 달러의 핀테크 투자를 유치하고,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EMEA)도 전년(790억 달러) 대비 약 43% 감소한 449억 달러 조달에 그쳤다. 하지만 미국, 영국과 같은 기존 금융 허브 외 한국, 이탈리아, 말레이시아, UAE 등 다양한 신 금융허브 내 핀테크에 대한 투자도 고루 이뤄졌다.

보고서는 올해 글로벌 핀테크 투자는 2022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조할 것으로 내다봤다. M&A 활동은 회복이 예상되지만 투자자들이 후기 단계 스타트업에 대한 평가가 안정되기를 기다리면서 거래 규모는 훨씬 적을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금융 서비스의 급속한 변화와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의 결합이 활성화되는 추세를 볼 때 핀테크 투자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은 상당히 긍정적으로 기대했다. 현금이 많은 기업이나 사모펀드 경우에는 밸류에이션이 안정화되면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 핀테크 기업을 좋은 가격에 인수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면서 전반적으로 M&A 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조재박 삼정KPMG 핀테크 리더 부대표는 “핀테크 시장 현황과 투자 동향을 봤을 때 향후 핀테크 기업은 B2B 및 B2B2C, 비금융 융합 관점의 임베디드금융(Embedded Finance),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 차별적 사업모델 발굴과 수익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핀테크 스케일업과 투자 및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 지원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awar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