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우크라 전쟁 1년] 핵심은 ‘원자재 가격 상승’…고물가 속 무역적자 심화, 복합위기 불렀다
러·우 전쟁이 만든 물가·무역수지 ‘최악의 여름’
지난해 6월 40% 육박한 석유류 물가 상승폭
소비자물가 전반 악영향, 7월 물가 6.3% 정점
금리도 같은 시기 오름폭 커져…7월부터 빅스텝
수입가 오르며 무역수지도 악화…8월, -94억불
공공요금 상방압력 아직 남아…고물가 지속한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경제에 미친 영향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다. 지난해 물가와 무역수지에서 ‘최악의 여름’을 만들었고, 앞으로도 당분간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전반적인 물가가 올랐고, 금리가 더 위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대부분 수입하는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서 무역수지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결국 소비에도 점차 악영향을 주는 상황이다. 주요 경제지표(물가·무역수지·소비)를 모두 후퇴 시켰거나, 앞으로 그럴 예정인 셈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가격 상승에도 정책을 동원, 비교적 물가를 성공적으로 방어했지만, 인위적이란 점에서 한계가 남았다. 원자재 단계에서 응축된 물가 상방압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점차 공공요금 등으로 전이되고 있다. 고물가가 앞으로도 6개월 이상 이어질 수 있단 관측이 힘을 얻는 이유다.

19일 국가통계포털(KOSIS)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석유류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1.2% 급등했다. 같은해 2월 19.4%에서 증가폭이 10%포인트 이상 늘어났다. 3월은 러·우 전쟁이 발발한 다음달이다. 이후 7월까지 석유류 물가 상승세는 30%대를 유지했다. 6월엔 39.6%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4월부터 7월까지는 기저효과가 있었는데도 30%를 넘겼다. 2021년 4월 석유류 물가 전년동월비는 13.4%였다. 5월엔 23.2%였고, 6월, 7월도 20%에 육박했다. 그럼에도 2022년 4~7월 석유류 물가 상승폭이 30%를 넘겼다. 러·우 전쟁이 에너지 시장에 미친 영향을 가늠할 수 있다.

석유 가격이 오르면 물가는 전반적 상방압력을 받는다. 공업제품부터 전기료 등 공공요금까지 석유류 영향에서 벗어난 품목이 사실상 전무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난 1년 물가가 6%를 넘긴 시점도 석유류 가격 폭등세가 정점에 달한 6~7월이다. 6월엔 6.0%, 7월엔 6.3%를 기록했다.

물가가 오르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도 덩달아 올랐다. 이 또한 7월부터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해 2월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했던 한국은행은 4월부터 인상을 시작했다. 4월(1.50%), 5월(1.75%)엔 0.25%포인트 상승 수준을 유지했으나, 7월엔 2.25%로 0.5%포인트를 올렸다. 빅스텝이다.

무역수지도 비슷한 형상이다. 무역수지 적자는 지난해 7월 50억달러를 기록했다. 다음달인 8월엔 94억달러를 나타냈다. 지난해 1년을 통틀어 최악이다. 수출이 부진했기 때문이 아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입이 더 많이 늘었다. 지난해 8월 수출이 34억달러 증가할 동안 수입은 145억달러 폭증했다.

소비도 시차를 두고 고물가·고금리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해 전반을 돌아보면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호황을 이뤘으나,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회복세가 약화하는 모양새다.

서비스업 생산은 9월(전월비 -0.1%)부터 12월(-0.2%)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10월(-0.7%)를 시작으로 11월(-4.0%), 12월(-3.0%) 큰 폭으로 줄었다. 재화소비(소매판액지수)는 12월 전월비 1.4% 올랐으나, 추운 계절로 의류 품목 소비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 크다. 9월(-2.0%)부터 11월(-1.7%)까지는 지속적인 약세를 나타냈다.

한 우크라이나 병사가 16일(현지시간) 동북부 하르키우에서 열린 동료 장례식에서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동료는 동부 최전선에서 전사했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침공 1년(24일)이 다가옴에 따라 이날 우크라이나 전역의 타깃을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우크라이나 당국이 전했다. [연합]

앞으로도 물가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지속할 예정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인위적으로 억제해온 공공요금 물가 상방압력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공공요금 물가는 이미 2차 석유파동 당시와 비견될 정도로 뛰고 있다. 지난달 전기료는 1981년 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기료는 1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9.5% 상승했다. 지난달 상승폭은 18.6%였다. 전기료 물가 상승세는 지난해 4분기 내내 18.6%를 유지했는데, 새해 첫 달이 되자마자 3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뛰었다.

전기료 물가 상승 폭이 30%를 상회한 시기는 1981년 1월(36.6%)밖에 없다. 1981년은 ‘2차 석유파동(1978~1980년)’이 직접 영향을 준 해다. 도시가스는 4개월 연속 전년동월비 36.2%를 나타냈다. 지역난방비도 4개월 연속 34.0%를 기록했다.

물가 안정세를 찾지 못하면 금리 인하시점도 뒤로 밀릴 수밖에 없다. 소비에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정부는 이에 경기반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지만, 고물가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자체적 특단의 대책이 있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는 최근 ‘2023년 2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가는 가운데, 내수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부진 및 기업심리 위축이 지속되는 등 ‘경기흐름이 둔화했다’”며 “확고한 물가 안정, 민생부담 완화 기조 하에 수출·투자 활력 제고에 총력 대응하면서, 3대 개혁, 에너지 효율 향상 등 경제체질 개선 및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