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똑똑해야 돈 잘 번다” 그 통념 깨졌다?…스웨덴 5.9만명 추적해보니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가장 지능이 높은 이가 가장 돈을 많이 버는 건 아닌 것 같다는 추적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최고 고소득층은 외려 이들은 외려 아래 단계에 있는 이들보다 지능이 살짝 낮은 것으로 나오기도 했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링코핀대 사회학자인 마르크 셰우슈니크는 이같은 내용의 논문을 학술지 유럽사회학리뷰에 올렸다.

셰우슈니크는 스웨덴에서 태어난 남성 5만9387명의 18~19세 지능을 검사하고 35~45세까지 11년간 소득 추적을 해봤다고 밝혔다.

지능 검사는 징병제에 따라 군대에 갈 때 의무적으로 치른 것이었다. 대상은 언어 이해력, 기술 이해력, 공간능력, 논리 등이었다.

조사 결과는 사회 통념과는 약간 달랐다. 일단 지능과 소득 수준은 특정 문턱까지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제로 연봉 60만 스웨덴 크로나(약 7400만원)까지는 지능이 높을수록 소득도 높았다.

하지만 그 뒤부터는 소득이 높아지더라도 지능은 거의 그 자리였다.

특히 소득 상위 1%에 있는 이들은 그 바로 아래 단계에 있는 이들보다 지능이 살짝 낮은 결과도 나왔다.

다만 이번 연구에는 사교기술, 동기부여 등 고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비인지능력은 고려되지 않았다.

지능이 높은 이가 외려 학자가 되는 등 반드시 고소득 직업을 추구하지는 않는 점도 허점으로 거론됐다.

다만 셰우슈니크는 고소득층에서 지능과 소득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점만큼은 소득 불평등에 대한 경종으로 주목했다.

셰우슈니크는 "엄청난 보수를 받는 최상위 직업을 가졌다고 해서 그 절반밖에 못 버는 이들보다 잘났다는 증거는 없었다"며 "극도의 직업적 성공은 능력보다 행운, 가족의 뒷받침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추측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