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감원장 "빅테크, 금융시장 안정성 저해 우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연합]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7일 빅테크 업권에서도 새로운 금융 리스크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 규제체계를 마련하고, 내부통제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진단 및 향후 과제' 세미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축사에서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은 기존 금융회사의 디지털 혁신을 자극해 금융시장의 성장과 경쟁을 촉진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며 "빅테크의 특성으로 인한 새로운 리스크에 대한 우려도 있다"고 언급했다.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거래 확대로 자금흐름의 변동성이 커져 금융시장의 안정성이 저해될 위험이 있고, 빅테크 그룹 내 IT비금융회사와 금융회사간 높은 상호연계성으로 인해 빅테크의 운영리스크가 금융회사로 전이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금융상품 추천 알고리즘의 불투명성 등이 발생할 경우 금융소비자의 효익을 침해할 위험도 리스크요인으로 꼽혔다.

이 원장은 "빅테크가 위험관리·내부통제 역량을 높여 금융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해야 금융산업 혁신이 촉진되는 선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서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의 빅테크 관련 규제체계 제안에 대한 관심을 가질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에서 김시홍 법무법인 광장 전문위원은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현황 및 성과'를 발표하며 빅테크가 출시한 대출비교 플랫폼 등이 이자 절감 효과를 가져오고, 저신용자·중소상공인에 대한 금융 포용성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빅테크 금융그룹의 금융시스템 내 중요도와 시스템 리스크 요인'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실장은 주요 빅테크 금융그룹을 금융복합그룹으로 지정해 건전성·유동성 규제를 강화하고, 그룹 차원의 내부통제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실장도 '빅테크 금융그룹 규제에 관한 논의 및 향후 과제' 발표를 통해 중장기적으로는 빅테크에 '금융복합기업집단법'을 적용하는 등 그룹 단위의 기관 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