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800만원 넘는데” 친구 결혼식뒤 샤넬백 사달라는 아내…찬반 팽팽
샤넬 클래식 플랩 백,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샤넬 홈페이지 캡처]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친구 결혼식에 다녀온 뒤 800만원 넘는 명품백을 사달라고 하는 배우자를 어떻게 대하면 좋을지 고민이라는 직장인의 사연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갑론을박을 낳는 등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와이프 친구 결혼식에 다녀온 후 와이프가 의기소침해졌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지난 9일 올라온 이 글은 13일 기준 1100개 이상 댓글이 달리며 직장인들 사이 의견이 엇갈리는 중이다.

대기업 계열사에서 일한다고 소개한 A 씨는 "아내는 현재 전업주부"라며 "거의 독박육아 중인데, 아이를 보느라 바빠 피부 관리나 옷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고 했다.

그는 "문제는 아내가 친구 결혼식에 다녀와 다른 친구들과 자신을 많이 비교하고 있다"며 "아내가 미대 출신이라 주위 친구들이 잘 사는 편이다. 결혼식에서 열등의식을 느끼고 온 것 같다"고 했다.

이어 "다른 친구들은 샤넬 롤렉스를 들고 피부관리도 받고 왔는데 자신만 찌들어있는 모습이었다고 했다"며 "가방이나 액세서리가 없는 모습이 초라해보였던 것 같다. 그날 이후 평소 하지 않던 명품을 사달라고 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부부는 조금만 더 노력하면 적당한 대출을 얻어 서울 아파트를 구할 수 있는 경제적 상황"이라며 "아내에게 '일단 아파트부터 사고 친구들을 초대하면 기분이 달라질 것'이라고 설득했지만 기분이 나아질 기미가 안 보인다"고 호소했다.

A 씨는 아내에게 명품백을 하나 사준다는 말을 건넸다고 했다. 그는 "알아보니 샤넬이 기본 800만원이 넘어간다"며 "지금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해야 아내 기분을 풀어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샤넬을 사주는게 맞는가. 요즘 정말 다 갖고 다니나"라고 조언을 구했다.

이 글에 대해 누리꾼들은 명품 구매 여부를 놓고 찬반 여론을 팽팽하게 형성했다.

명품백 구매에 찬성하는 누리꾼들은 "구찌 등 다른 브랜드백이라도 사주자. 결혼식에 에코백을 들고 다닐 수는 없다", "잘 살든 못 살든 30대면 명품백 하나씩 사서 다들 갖고 있긴 하다", "아내가 물질적인 것으로 자존감을 채우고 싶은 시기인 것 같다"는 등 의견을 냈다.

반면 "친구 생일파티 갔다가 로봇이랑 게임기 사달라고 징징대는 애 같다", "명품 가방 들고 다니는 게 당연한 나라는 아마 대한민국밖에 없을 것" 등 반대 의견도 적지 않았다.

한편 글로벌 리서치 업체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체 명품시장 규모는 141억6500만달러(약 17조8600억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세계 7위 규모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약 40만4000원)로 미국(280달러)과 중국(55달러)를 제쳐 세계 최고 수준이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외모와 재정적 성공은 대부분의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소비자들에게 더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다"며 한국의 명품 수요는 구매력 증가와 함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로 주도된다고 분석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