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한금융, 3년만에 ‘리딩뱅크’ 탈환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 이익 영향

신한금융그룹이 2년 연속 순이익 1위 자리를 수성하고 있던 KB금융그룹의 ‘리딩뱅크’ 자리를 탈환했다. 비은행 부문에서 희비가 엇갈린 영향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4조6423억원이다. KB금융(4조4133억원)과 비교해 2300억원가량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두 회사 모두 이자이익 증가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신한금융의 순이익 규모가 크게 늘며 리딩뱅크 지위를 약 3년 만에 되찾았다.

두 금융그룹 모두 은행에서 호실적을 기록했다. 신한은행의 순이익은 3조450억원이다. 전년 대비 22.1% 증가했다. 국민은행도 2조9960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전년과 비교해 15.6% 증가했다.

희비는 비은행 부문에서 갈렸다. 신한금융은 신한카드에서 전년 대비 4.7%가량 감소한 순이익(6445억원)을 거뒀지만, 나머지 주요 계열사의 전반적인 실적이 증가했다.

신한라이프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한 4636억원으로 집계됐다. 신한캐피탈도 전년 대비 10.3% 증가한 3033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무엇보다 신한금융투자의 순이익(4125억원)이 사옥 매각이익에 힘입어 크게 늘었다.

반면 KB금융의 주요 비은행 계열사는 고전했다. 증권업계 불황이 장기화되며 KB증권의 실적이 크게 감소했다. KB증권이 지난해 거둔 순이익은 2133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급감했다. 국민카드도 전년 대비 9.6%가량 쪼그라든 378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KB손해보험은 손해율 개선과 부동산 매각이익 등 영향으로 84.8%가량 증가한 5577억원의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그러나 푸르덴셜생명의 경우 전년 대비 25.6% 감소한 2503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KB금융의 2022년 기준 비은행 부문 순이익 비중(지분율 감안 전 기준)은 전체의 34.9%로 지난해(42.1%)에 비해 크게 줄었다. 신한금융도 지난해 기준 39.1%로 전년(42.4%) 대비 줄었지만, 감소폭은 KB금융에 비해 작았다.

다만, 이번 신한금융의 리딩뱅크 자리 탈환이 ‘온전한 승리’가 아니라는 분석도 존재한다. 신한금융의 실적에는 지난해 3분기에 반영된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 이익(세전 4438억원) 등 일회성 이익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김광우 기자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