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권 부동산PF 2년새 35兆 ↑...증권사 연체율도 8%대로 치솟아

올해 금융시장의 최대 리스크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꼽히는 가운데 2금융권 연체율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8%대에 달해 부동산 PF 부실이 금융권으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국내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25조3000억원이다. 2021년 말(110조2000억원)보다 15조1000억원 늘었다. 2020년 말 90조3000억원과 비교하면 35조원 급증했다.

업권별로는 보험 44조1000억원(35.2%), 은행 34조1000억원(27.2%), 여신전문금융회사 27조1000억원(21.6%), 저축은행 10조7000억원(8.5%), 상호금융 4조8000억원(3.8%), 증권 4조5000억원(3.6%) 순이다.

부동산 PF 대출 규모가 급증한 가운데 연체율도 급등세다. 특히 증권사 연체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8.2%로 2021년 말(3.7%)보다 4.5%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말(1.3%)보다는 6배 넘게 오른 것이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2.37%로 2021년 말 대비 1.18%포인트 올랐으며, 여신전문회사 연체율은 1.07%로 0.6%포인트 상승했다. 보험사 연체율은 0.40%로 0.33%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따라 은행까지 포함한 전 금융권 연체율은 같은 기간 0.38%에서 0.90%로 0.52%포인트 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는 PF 대출 규모 자체가 작아 사업장 1~2곳만 부실이 발생해도 비율이 오르게 된다”며 “상승 추이여서 관심을 두고 지켜보고 있지만 아직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불안이 금융시장으로 확산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선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1분기 중 PF 대주단 협약 개정 및 협의회 출범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주단 협의회에는 금융사 200여 곳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실 PF 사업장의 자율적인 정리를 유도하게 된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