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대 업종에 100조원 투자…정부, 투자 밀착지원하고 무역금융 360조원 공급
산업부, 제조업 업종별 수출투자 지원방안
300억달러 이상 외국인투자 유치 목표
상반기 수출지원 예산 9000억원 투입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국내 기업이 10대 주력업종에서 올해 100조원 규모의 투자에 나선다. 이에 정부는 이 투자가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입지·인허가·인프라 지원과 투자세액공제 제도의 조속한 입법 등 밀착 지원하기로 했다. 또 제조업 설비 및 연구개발(R&D) 투자지원을 위해 총 81조원의 정책금융을 공급하고, 올해 외국인 투자도 300억달러(한화 36조8100억원) 이상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흔들리는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역대 최대인 360조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기로 하고, 올해 수출 지원 예산 1조4000억원의 약 70%인 9000억원을 상반기에 집중 지원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같은 ‘제조업 업종별 수출·투자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장관급 수출투자대책회의는 상황에 따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겸해 개최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올해 자동차, 배터리, 조선,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며 국내 민간기업들이 10대 제조업종에서 작년 수준인 100조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업종별로 국내 기업의 올해 투자 계획 규모는 반도체가 47조원으로 가장 많고, 자동차 16조원, 디스플레이 14조원, 배터리 8조원, 철강 4조8000억원, 석유화학 4조원, 조선업 2조원 등이다.

정부는 제조업의 100조원 투자에 맞춰 올해 역대 최대인 360조원 무역금융을 공급하고 수출의 첫관문인 해외인증을 손쉽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범부처 수출 지원역량을 결집한 수출플러스 종합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 각 부처별로 올해 수출 목표를 설정하고, 산업부와 함께 추진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원방안도 마련한다.

설비 및 연구개발(R&D), 외국인투자 등 3대(大) 투자도 활성화한다. 12년만에 부활한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세액공제 상향이 조속히 입법화되도록 국회와 긴밀히 협의한다.

첨단산업 분야 투자프로젝트에 대한 입지·인허가·인프라 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오는 6월 중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하고 신속한 인허가를 위한 상생인센티브 체계 및 인허가 타임아웃제를 도입한다. 제조업 설비 및 R&D 투자지원을 위해 총 81조원의 정책금융 공급도 추진한다.

각 업종별 상황에 따른 맞춤형 수출·투자 지원도 추진한다. 팹리스,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메모리 고의존구조 탈피 및 수출 안정성 강화 적극 지원한다. 이를 위해 전력‧차량용 반도체, 첨단패키징 등 3대 시스템반도체 기술 확보를 위한 1조5000억원 규모 예타를 추진한다.

추 부총리는 회의에서 "장관급 수출투자대책회의를 신설해 격주로 업종별 수출·투자 여건을 면밀히 점검하고 관련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경기 반등의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고 경제 활력을 살려나갈 수 있도록 우리 기업들의 수출·투자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처별 1급 간부를 수출·투자 책임관으로 지정해 소관 부처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한편 전 경부처 모든 공무원이 영업사원이 돼 소관 업종·품목별로 수출·투자를 철저히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