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웹디자인기능사, 취업률 높은 국가기술자격증 3위...1·2위는?
전체 합격자의 57.5% 청년
기사 등급 자격 취득 청년 중 미취업자 56%는 1년 이내 취업
산업위생관리기사 70.2%, 기계정비산업기사 74.9%, 웹디자인기능사 67.6%

12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년 하반기 용인시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청년의 1년 이내 취업률을 분석한 결과, 44.8%는 자격 취득 후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등급은 56.0%, 산업기사는 51.5%로 1년 후 취업률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취업률 순위가 가장 높은 자격은 산업위생관리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웹디자인기능사, 직업상담사 2급 등이었다.

30일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1년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중 청년(15~34세)의 1년 이내 취업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공단 조사에 따르면 국가기술자격의 기사 등급 이하 취득자 63만2655명 중 36민3898명(57.5%)은 청년으로 나타났다. 청년 중 이미 취업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7만9261명(21.8%)이었고, 28만4637명(78.2%)은 미취업 상태에서 자격을 취득했다. 28만4637명 중 1년 이내에 취업한 비율은 44.8%이다. 등급별로는 기사 등급 56.0%, 산업기사 51.5%, 기능사 40.1%, 서비스 분야 45.9%를 기록했다.

공단은 "학교 수업일수가 남아 노동시장에 즉시 진입이 어려운 학생들, 진학이나 자기 계발을 목적으로 한 개인이 자격을 취득한 경우 등이 포함돼 있어 실제 취업률은 더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1000명 이상 취득자를 배출하는 자격 중 청년 취업률 순위가 가장 높은 자격을 등급별로 살펴보면, 기사 등급은 산업위생관리기사(70.2%), 산업기사는 기계정비산업기사(74.9%), 기능사는 웹디자인기능사(67.6%), 서비스 분야는 직업상담사 2급(50.3%)이다. 이 밖에 전기공사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웹디자인기능사, 화학분석기능사, 사회조사분석사2급 자격은 합격자의 90% 이상이 청년이다.

한편, 텔레마케팅관리사 자격은 청년층의 취득률이 88.7%임에도 1년 이내 취업률이 28.1%로 저조한 이유는 자격취득자의 주된 목적이 ‘진학 및 학위(73.1%)’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격취득자가 1000명 미만(200명 이상)인 자격에서는 승강기기사 자격 취득자의 87.0%가 1년 내 취업해 가장 높은 취업률을 보였다.

어수봉 이사장은 “경제 상황 악화로 취업이 어려운데, 자격증이 청년의 취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무기가 될 수 있다”며 “자격의 현장성을 강화해 자격취득자의 취업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