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일본만 비자 발급 재개…한국 압력 두드러지게 하려고?
블룸버그 “中, 일본 기업 유치 하려고”
일본, 美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동참
중 언론 “한국 관광산업 회복 더딜 것”
지난 6일 인천공항 코로나19 검사센터에서 의료진이 중국에서 입국하는 여행객들을 검사하고 있다.[블룸버그]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중국이 29일 일본인 여행객의 비자 신청 접수를 재개했다. 비슷한 시기 중국발 입국자 규제를 시작하며 똑같이 비자 발급을 중단한 한국에 대해서는 발급 제한을 유지하기로 하면서 배경을 놓고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주재 중국대사관은 이날 오후 소셜미디어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오늘부터 주일 중국 대사관과 영사관은 일본 국민의 중국 일반 비자 발급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일본이 중국발 입국자 전원에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조치를 해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같이 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통신은 일본 기업들이 중국에서 자금을 빼내고 있고, 일본 정부도 자국 기업에게 중국 의존도를 줄이도록 권장하고 있는 것이 일정 부분 원인이 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일본 언론도 이번 차별적 조치의 배경과 관련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NHK는 중국 정부가 이달 톈진과 광둥성 선전 등의 투자 유치를 위해 일본에서 잇따라 설명회를 개최한 점을 언급하며 “중국정부로선 경제 재건이 긴급한 과제인데 왕래를 방해하는 건 득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NTV는 애초부터 한국이 비자 발급 중단 등 일본보다 더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는 점을 짚으면서도, “중국 정부가 일본에만 제한을 철회해 한국에 대한 압력을 두드러지게 할 목적이 있어 보인다”는 해석을 내놨다.

일본 비자 제한 철회와 관련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글로벌타임스는 29일 “한국은 중국발 입국자 규제를 연장해 2월 관광 특수를 놓쳤다”며 “일본도 초기엔 입국 제한 조치를 취했지만 관광업계가 어려움을 겪자 정책을 빠르게 바꿨다”고 비교했다.

또 “많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꽃으로 중국 여행객을 환영하고 중국 관광객 유치 사업까지 열고 있다”면서 “중국 관광객들은 중국인 입국자에 우호적인 인근 국가 방문을 우선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타임스는 “한국과 같이 중국인 관광객에 제한을 부과한 국가에서 중국인 여행객 회복 속도는 느릴 가능성이 높다”며 업계의 관측을 인용해 경고했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