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쇼크…경기 침체 터널 속 가계 지갑 더 닫는다
[벼랑 끝 韓경제] 갈수록 위축되는 소비
고물가·고금리·고용 불안까지 3중고
민간소비 증가율,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
소비심리 위축으로 둔화세 장기화
[123RF]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국내 경기가 둔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국민경제의 한 축인 소비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예고됐던 전기, 가스, 대중교통 등 공공요금 인상이 이미 가시화했고,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은 더 커졌다. 닫혔던 가계 지갑이 열릴 가능성은 더 희박해지고 있다.

25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한국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 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감소 및 경제 심리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의 경기 둔화 우려 진단은 지난해 6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처음 언급된 뒤 8개월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5.1%로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둔화됐지만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4.8% 상승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공공요금 인상이 줄줄이 예정돼 있어 물가에 미칠 악영향은 불가피하다.

한국은행은 당분간 물가 상승률이 5% 안팎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기준금리는 3.5%까지 올라 정점을 찍었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지난해 4월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소비 활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소비 둔화는 이미 각종 지표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18.1(2015년=100)로 전월대비 1.8% 감소했다. 지난해 9월 -2.0%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이로써 소매판매는 9~11월 3개월 연속 감소했고, 감소폭도 10월 -0.2%에서 크게 확대됐다.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전월대비 5.9% 감소한 것을 비롯해 가전제품을 포함한 내구재(-1.4%), 화장품 등 비내구재(-0.5%) 등 3대 유형의 소매판매가 모두 줄어 소비 위축이 전방위로 확대하는 형국이다.

코로나19 방역 완화 이후 소비 증가세를 이끌었던 서비스업 생산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은 전월보다 4.0% 줄어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5.0% 하락해 3개월 연속 줄었다.

문제는 이같은 둔화세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기재부는 올해 민간소비가 2.5% 늘어나는데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4.6% 대비 약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셈이다.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소비자들의 처분가능소득 등 소비여력이 위축될 것으로 봤다.

경제는 심리다.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내수 기반이 든든하지 않은 가운데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이로 인한 고용 불안도 소비 심리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기재부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지난해(81만명)보다 줄어든 10만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소득이 줄면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다.

기재부는 “글로벌 경기둔화, 반도체 경기하강, 금리 상승 등으로 수출‧투자 여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흐름이 제약되면서 향후 경기흐름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