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中 외교장관, 내달 5∼6일 베이징서 만난다”
우크라 전쟁 등 주요 안건 될 듯
대화·협력 재개 여부 주목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AFP]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미국과 중국의 외교 수장들이 내달 베이징에서 만난다.

16일(현지시간)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내달 5∼6일 중국 베이징에서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장과 만난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이뤄진 미중 정상회담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당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난 뒤 “양국의 열린 소통 라인을 유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마찬가지로 오는 18일 스위스 취리히에서는 미국 경제 실무 책임자인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 류허 중국 부총리의 회담도 예정돼 있다.

미국 국무부와 중국 외교부 모두 일정과 주제에 대한 공식 발표를 내놓지 않은 상황이지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최근 대만을 둘러싼 중국의 무력시위 등이 안건으로 오를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실제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달 브리핑에서 블링컨 장관이 올해 초 베이징 방문을 추진할 예정이라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안건으로 다뤄질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폴리티코는 블링컨 장관이 현재 중단된 상태인 양국 고위급 접촉을 재개할 수 있도록 중국을 설득해야 한다는 자국 내 압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중국은 지난해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보복 조치로 미국과의 대화·협력을 단절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블링컨 장관의 카운터파트인 친강 외교부장은 일단 블링컨 장관을 향해 우호적인 입장을 드러낸 바 있다. 그는 외교부장으로 발탁되기에 앞서 17개월간 미국 워싱턴 주재 중국대사로 재직했고, 미국을 떠나면서 “블링컨 장관과 중미관계 개선을 위해 계속 협조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폴리티코는 친강 외교부장이 주미대사 부임 기간 미국 정부로부터 거의 철저하게 외면당했고, 전 외교부장인 왕이 공산당 중앙 외사판공실 주임이 현재 외교라인 최고위직을 맡고 있다는 점 등이 회담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왕이 주임은 지난달 성명에서 “미국은 고집스럽게 중국을 주요 경쟁상대로 보고 있다. 또한 노골적으로 중국에 대한 압박, 도발 등에 가담해왔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수잔 셔크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국제정책전략센터 21세기중국센터장은 이번 회담에 대해 “최근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뒤집은 중국 정부가 다른 외교·국내 정책도 조율할 의지가 있는지를 보여줄 계기가 될 것”이라며 “두 정부가 관계 개선에 더 많은 노력을 투자하지 않으면 때로 미중 관계는 위험 수준에 이르게 된다”고 분석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