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 의원 "징집 피해 달아나면 극동서 일시켜야"
징집 면제 대가로 강제 이주, 노동
인구 감소, 경제 낙후 대안으로
지역민 “애국심 먼저 보여야”
러시아 극동 지역 중심도시 블라디보스토크 [타스]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러시아 하원 의원이 예비군 부분 동원령을 피해 해외로 달아난 자국민을 극동 지역에서 강제로 일을 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 억지로 전장에 보내느니 인력이 부족한 극동 지역 경제에 기여하게 하자는 것이다.

16일 러시아 일간 베도모스티와 극동 매체 등에 따르면 친정권 성향의 ‘정의 러시아당’ 소속 페도트 투무소프 러시아 하원 의원은 이같은 내용의 ‘극동 사면령’을 발표하자고 주장했다.

극동사면령은 현재 해외에서 생활 중인 자국민들이 러시아로 돌아오도록 하고 극동 지역을 비롯해 국가 전체 발전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는 목적을 가진다. 다만 해외로 탈출한 뒤 러시아에 대한 적대적 활동을 한 자국민들은 이번에 제안한 조치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했다.

러시아 극동 지역은 낙후한 산업과 기반시설 등으로 인해 인구 늘리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극동 지역 인구를 늘리기 위해 오래전부터 토지 무상 분배 등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했지만 뚜렷한 성과는 거두지 못했다.

이 지역 젊은이들은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서부 대도시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어 지역 발전에 필요한 노동력이 부족하다.

투무소프 의원은 “징집을 피해 해외로 달아난 이들 대부분이 가장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연령대임을 고려할 때 이 문제에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이들 상당수는 프로그래머나 엔지니어, IT전문가 등 기술 주권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제안에 극동 지역 주민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동원령에 응하지 않고 해외로 달아난 것을 부도덕하게 여기지 않는데다 극동에서의 생활을 강제 노동과 동일시 한다는 것이다.

연해주에 있는 전쟁 관련 장애인 단체 회원인 올레그 미하일로프는 “그들은 이곳에 오기 전 고국에 대한 사랑을 증명해야 한다”며 “최소 한 달 동안 특별 군사작전에 참여한다면 우리는 그들이 극동 지역에 오는 것에 대해 고려해 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9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특별 군사작전에 투입할 병력 확보를 위해 예비군을 대상으로 한 부분 동원령을 내렸으며, 한 달여 뒤 목표로 한 30만 명 동원을 완료했다.

하지만 서방 매체들은 이 기간 징집 목표 인원에 육박하는 러시아 남성 30만 명가량이 카자흐스탄 등 주변국으로 탈출했다고 전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