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리확정형 약관대출 이자만 8%…확정형? 연동형? '고민' 깊어진 서민들[머니뭐니]
저렴했던 금리연동형도 상승세 커
경기악화에 약관대출 48조원 돌파
“해약환급금, 금리조건 따져 결정해야”
생명보험사 보험약관대출 추이 [생명보험협회 자료]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경기 침체로 급전이 필요해 ‘생계형 대출’인 보험약관대출을 받으려는 서민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금리확정형 대출금리가 최고 8%대까지 올라 고민을 깊게 하고 있다.

4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국내 23개 생보사의 지난해 12월 말 보험계약(약관)대출 금리확정형 대출금리는 4.14~8.54%, 금리연동형 대출금리는 3.85~5.17%를 기록했다.

금리확정형 대출금리는 지난해 11월(4.10~8.55%)과 비교해 하단은 0.04%포인트 올랐고 상단은 0.01%포인트 내렸다. 금리연동형의 경우 11월(3.85~4.74%)에 비해 상단이 0.43%포인트 상승했다.

보험약관대출은 가입한 보험계약을 담보로 해지환급금 범위 내에서 받는 대출을 말한다. 대출심사나 중도상환수수료가 없고, 은행 대출에 비해 비교적 금리가 낮은 게 장점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받지도 않아 대출한도가 꽉 찬 취약차주들도 대출이 가능하다.

금리유형은 차주가 가입한 보험계약이 금리확정형이냐, 금리연동형이냐에 따라 갈린다. 금리확정형은 보험 가입시 확정된 예정이율에 가산금리를 붙여 금리가 책정된다. 금리연동형은 정기적으로 변동되는 공시이율에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보통 저축성보험은 금리확정형, 보장성보험은 금리연동형이다. 보장성보험이 많이 팔리는 만큼, 보험약관대출도 금리연동형 취급비중이 높은 편이다.

문제는 향후 경기 전망이 어두운 데다 대출금리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았던 금리연동형의 최근 상승 폭이 금리확정형을 크게 웃돌고 있는 것도 고민을 더하게 하는 요인이다.

보험약관대출 증가세는 거듭하고 있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생보사 보험약관대출금은 지난 10월 말 48조1073억원으로, 1년 전(46조7165억원)에 비해 1조3908억원(3.0%) 증가했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다른 금융기관에서 신규로 대출받기 어려울 때 받을 수 있는 게 보험약관대출”이라며 “보험약관대출을 받을 때는 본인이 보험료를 낸 계약의 해약환급금이 얼마나 되는지와 금리가 어떤 조건인지를 따져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금리에 따라 보험금이 적립되는 게 금리연동형이고, 처음부터 금리가 정해진 게 금리확정형인데, 이 두 가지 종류에 따라 보험약관대출의 금리조건이 달라진다”며 “현재 시장금리에 가산금리를 더 주고 상환하는 게(금리연동형) 나은지, 계약 당시 금리에 가산금리를 붙여 상환하는 게(금리확정형) 나은지 개인 상황에 맞춰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