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日, 대만 유사시 작전계획 세운다
中 침공 상정 계획 마무리 단계
마이니치 “4월 정상회담 후 진행”
미군·자위대 역할 분담 상세 기술

미국과 일본이 중국 공격을 상정해 대만 유사시를 위한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니치신문이 2일 미국과 일본이 대만 유사시에 대비해 ‘미일 공동 작전계획’ 수립을 추진해 왔고,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계획에는 미군과 일본 자위대의 지휘 통제를 비롯한 작전 임무, 수송과 보급 등 양국 전력의 역할 분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이 담긴다.

일본과 미국의 위기 대응 계획은 개념계획과 작전계획으로 나뉜다. 개념계획은 미국과 일본의 역할을 대략적으로 나눈 구상이고 작전계획은 시나리오를 설정해 시간 순으로 동원할 부대와 기지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아베 신조 정권 시절이던 2018년부터 대만 유사시에 대응할 방법을 논의해왔다.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지난해 4월 정상회담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반세기 만에 공동 성명에 명기한 이후 양국이 물밑에서 작전계획 수립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대만 유사시에 대만에서 약 110㎞ 거리인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지마가 피해를 볼 수 있고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중국이 무력을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기존에 센카쿠 열도 위기 대응 계획은 대만 유사시를 고려하지 않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마이니치는 미군과 자위대가 지난해 11월 실시한 킨 소드 훈련 중 일부는 중국이 일본의 섬을 빼앗을 경우 다시 탈환하는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고 전했다.

마이니치는 “미국과 일본의 대만 유사시 작전계획은 중국을 ‘적국’으로 가정하게 된다”며 “중국과 대치하는 미국과 일본의 군사 협력이 은밀하고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원호연 기자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