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헝다, 채무 구조조정계획 제출 또 못해…파산소송 갈수도
[연합]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채무구조조정 계획발표를 또다시 연기하며 파산 소송 가능성이 커졌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일 보도했다.

헝다는 2022년 말까지 1조9700억위안(약 357조원)에 대한 채무조정안을 홍콩 증권거래소에 내기로 했으나 이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헝다는 지난해 7월에도 채무구조조정 계획 발표 약속을 파기한 바 있다.

헝다는 2021년 12월 달러화 채권을 갚지 못해 공식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다. 이후 중국 당국이 개입해 구조조정을 이끌어왔으나 상황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시장 과열에 따른 투기를 방지한다는 목적으로 2021년 중국 정부가 부동산 개발 기업들을 대상으로 강력한 단속에 나서면서 같은 해 12월 헝다의 디폴트가 초래됐고, 이어 다른 부동산 기업도 줄줄이 유동성 위기에 처하게 됐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도시 부분·전면 봉쇄와 인플레이션·금리 인상 등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심화되자 적극적인 부동산 부양정책으로 선회했다.

블룸버그는 헝다가 파산에 직면할 경우 58조달러(약 7경3500조원) 규모의 중국 금융 시스템은 물론 중국 부동산 시장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면서, 국내총생산(GDP)의 약 25%를 부동산 시장에 의존하는 중국의 경제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통신은 올해 2월 말 또는 3월 초 헝다가 역외채권단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면서, 3월 20일까지 “좀 더 구체적인” 채무조정안을 제시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