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원 청년 희망1위…주거·취·창업 지원
수원 청년1000명 대상으로 ‘2022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수원시 제공]

[헤럴드경제(수원)=박정규 기자]수원시 청년들이 원하는 청년지원 정책은 ‘주거지원’과 ‘취·창업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가 경인지방통계청과 협업해 추진한 ‘2022년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원 청년들은 ‘수원시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길 바라는 청년정책’(1·2순위 합산)으로 ‘주거지원’(72.4%)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취·창업 지원’(69.0%), ‘복지·문화 지원’(30.0%)이 뒤를 이었다. 청년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청년주거 관련 정책은 ‘공공주택 확대’(39.9%), ‘청년 보증·전세금 대출 지원’(37.7%), ‘청년 전세임대 확대’(12.3%) 등이었다.

청년들이 원하는 ‘청년 취업·창업 활성화 정책’은 ‘공공부문 채용 확대’가 26.3%로 가장 많았고, ‘구직·창업 활동 지원금 지급 확대’(25.0%), ‘관내 기업 고용지원 및 신규기업 유치 확대’(22.0%), ‘교육기관 연계 취업 지원 강화’(19.1%) 순이었다.

‘행복한 삶의 중요 요건’은 ‘재산, 경제력’을 선택한 청년이 44.8%로 가장 많았고, ‘화목한 가정’ 18.3%, ‘자아 성취, 목표 의식’이 13.0%였다.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산·육아 정책’(1·2순위 합산)으로는 ▷자녀의 교육비·가구 주거비 부담 완화(42.6%) ▷임신·출산 진료비, 출산 장려금 확대(39.7%) ▷육아휴직 장려, 급여 확대(38.9%) ▷출산휴가 장려, 배우자 출산 휴가 확대(33.9%) 등을 선택한 청년이 많았다.

청년의 65.2%는 ‘주거환경에 만족한다’고 답했고, 주거환경 불만족 이유는 ‘거주 공간 협소성·낙후성’이 25.4%로 가장 많았다. 부채가 있는 청년은 35.4%였고, 부채의 주원인은 ‘주택 임차·구입’(48.5%)이었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